위로가기 버튼

우리는 누구인가요?

등록일 2022-09-15 17:58 게재일 2022-09-16 18면
스크랩버튼
김충규

하염없이 우는 영혼이 우리에게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는 자궁 속에서 죽은 태아같이 웅크리고만 있습니다

 

숨결이 간결해지려면 맑은 어둠을

더 많이 들이켜야 합니다

 

 

울음을 조심해야 하는 밤

울음의 구근을 쥐들에게 던져주는 밤

 

은밀하게 흡혈하기 위하여

우리는 서로의 흰 목덜미를

드러내놓습니다

누구의 피가 가장 달까요? (부분)

시인에 따르면 “죽은 태아같이 웅크린” ‘우리’에겐 우는 영혼이 없다. 그러므로 “울음을 조심해야” 한다. 우는 영혼이 없는 우리들에겐 운다는 일은 감당하기 힘든 일일 테니까. 대신 우리는 흡혈하듯 “맑은 어둠을 더 많이 들이켜야” 한다. 간결한 숨결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피로 상징되는 상대방의 ‘삶-죽음’을 빨아 마셔야 한다는 것. 그렇다면 “우리는 누구인가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뱀파이어’라는 것일까.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