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냉천 ‘고향의 강’ 정비사업 수정해야”

이부용 기자
등록일 2022-09-14 20:06 게재일 2022-09-15 4면
스크랩버튼
2012년 하천정비 후 피해 집중<br/>“한계수량 넓히고, 대책 세워야”

반복되는 태풍 피해에 속절없이 당한 ‘포항 냉천 고향의 강’ 정비 사업의 복구 진행 방향을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지난 6일 새벽 시간당 최대 110㎜의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면서 포항시 남구 오천읍∼청림동을 잇는 하천인 냉천이 범람해 주변 지역은 초토화됐다.

14일 냉천에는 덤프트럭과 굴삭기 등 10여 대가 동원돼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무서운 기세로 물을 토해냈던 하천은 온데간데없고 거친 살갗만 드러내고 있을 뿐이었다.

냉천 관리소 관리원은 “태풍이 지나간 직후 복구 작업에 들어갔고, 현재 20% 수준 복구가 진행됐다”며 “굴삭기로 흙더미와 바위를 치우고 준설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규모가 크기 때문에 언제 복구가 완료될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태풍 수해는 지난 2012년 하천 정비 사업 이후 집중됐다. 당시 이명박 정부가 내세운 ‘포스트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297억원(국비 179억원, 시·도비 118억원)을 투입해 8.24㎞에 걸쳐 냉천을 정비했다. 하천 정비 사업은 주변 시설물 설치에 집중됐다. 이후 2016년 차바, 2018년 콩레이, 2019년 타파 등 태풍이 지나가면서 냉천에는 포항시 추산 10여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경북도 특정감사를 통해 하천 경사면 보강 조치, 저수호안 및 시설물 보강 조치 등 문제점도 드러났다. 그럼에도 지난해 10월 마무리된 냉천 정비 공사의 한계수량은 1시간당 강수량이 77㎜로, 이번처럼 110㎜가 넘는 폭우에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었다.

인명 사고가 발생한 아파트에 거주하는 이광천(64)씨는 “시설물이 설치되면 수심이 낮아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옹벽을 더 높게 쌓았어야 했다”며 “2∼3년 전에도 무너진 적이 있었다. 예견된 재앙”이라고 꼬집었다.

인근 아파트에 거주하는 이형우(56)씨는 “태풍 때마다 제대로 된 대책은 세우지도 않고 아까운 혈세만 낭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시민 역시 “매번 태풍 때마다 보수를 할 수는 없다. 수변공간 등 시설물은 줄이고, 한계수량을 더 넓힐 수 있는 방안을 찾아서 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부용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