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16일 낙동강 본류 일대에 녹조가 1천세포/㎖이상의 밀도로 과다 발생해 최초로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되었다. 이후 일주일만인 6월 23일에는 조류세포밀도가 1만세포/㎖이상으로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되었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강정고령보를 기준으로 ‘경계’ 단계로 격상 발령된 것은 2019년 이후 처음이라고 한다.
이에 대한 주된 원인으로는 유례없는 폭염으로 인한 수온 상승과 지속된 가뭄이 꼽히고 있다. 다행히 지난주 8월 18일 오후 3시를 기해 낙동강 강정고령보에 발령된 조류경보가 ‘경계’단계에서 ‘관심’단계로 하향 발령됐다.
조류경보가 하향된 원인은 예년보다 강수량이 많지는 않으나 8월에 비가 자주 내린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제 가을로 접어들면서 조류경보가 상향될 우려는 낮아졌지만 지난 여름 내내 조류경보 ‘경계’ 단계 기간 동안 수돗물 내에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의 검출 여부에 대하여 관계 당국과 환경단체의 대립이 이어지면서 시도민들의 수돗물 걱정이 더욱 깊어졌다. 녹조 문제에 더해서 주로 제조업체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등 유해오염물질의 배출로 인한 식수원 오염 문제도 수돗물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어서 취수원 다변화가 대구·경북지역의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핵심과제가 됐다.
현 단계에서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해야 할 시급한 사항은 녹조와 유해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한 취수원을 확보하고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취수된 물에 유해물질이 포함되어도 수돗물 생산과 공급과정에서 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고도정수시설과 관망시설이 갖추어져야 한다.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낙동강 지류와 본류에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줄이고 유해오염물질의 배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야 한다.
이처럼 녹조 발생의 근본 원인인 비점오염물질과 유해오염물질에 대한 완벽한 관리가 시급하지만, 지역의 경제발전과 조화롭게 해결되어야 하므로 중장기대책으로 추진이 불가피하다.
낙동강의 비점오염물질 배출원은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 등 매우 다양한데, 이 중에서 축산계와 토지계에서의 가축분뇨로 인해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비중이 가장 높다. 실제로 경상북도에서 가축 사육두수는 한우기준 환산사육두수가 168만6천두로 전국 1천18만9천두의 15.2%에 육박한다. 그리고 경북의 가축분뇨 발생량은 2019년 800만9천t으로 전국발생량 5천183만8천t의 15.5%에 이르는데, 이 량의 무려 91%가 퇴비나 액비 형태로 농지에 살포된다.
자원화라는 명목으로 가축분뇨가 농지에 살포되었으나 엄청난 악취를 유발하였고, 지하수를 크게 오염시켰으며, 농지의 양분과잉을 초래하여 많은 양의 질소와 인이 작물에 흡수되지 못하고 하천으로 유입되어 녹조 대발생의 핵심 원인이 되었다.
결국 가축분뇨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가축분뇨 연료화’로 농지주입 최소화가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축산계 탄소중립을 위한 수단으로도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