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초 중학교 배정 대책위원회<br/>실효성 있는 대책마련 기자회견<br/>소극적 교육행정 등이 화 불러<br/>“市·교육청 등 4자 TF팀 구성해<br/>위장전입 신고센터 개설 운영을”<br/>“중학 배정때 실거주자 우선해야”<br/>
대책위는 이번 일이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를 ‘그릇된 교육열로 인해 발생한 학구 위반 및 위장전입 문제’로 지목했으며, 여기에 더해 교육수요 예측실패와 소극적 교육행정을 이어나가는 교육 당국을 비판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효자초는 지난 6월 초부터 7월 말까지 재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실거주 확인을 위해 주민등록등본 등을 제출받아 위장전입 및 학구 위반 조사에 나섰다.
그 결과 전교생 1천234명 중 70명이 이를 위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중 5∼10명의 학생은 원래의 통학구역으로 돌아갔다.
대책위는 지난 7월 11일 포항교육지원청에 제철중 진학 대상인 효자초와 제철초, 제철지곡초 등 3개 초에 대해 전수조사를 요청했지만, 현재까지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위장전입과 학구위반 근절을 위해 중학 배정 시, 실거주자 우선배정 원칙에 대한 조례를 제정해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해 달라”며 “포항시청, 교육청, 학교, 학부모를 중심으로 한 4자 TF팀을 구성하고 위장전입 신고센터를 개설해 위장전입 학구 위반 단속반을 구성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허위사실을 바로잡았다.
우선 ‘효자초가 제철중 진학 학구가 아님에도 진학한다’는 주장에 대해 “확인된 자료 중 가장 오래된 효자초 중학교 진학 기록을 살펴보면 지난 1995년 졸업생부터 제철중을 진학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곧 최소 1995년 이전부터 효자초는 제철중학구에 이미 포함돼 있음을 뒷받침해주는 내용이다”고 밝혔다.
‘효자초 학부모들이 효자중 신설 반대를 한다’는 내용과 관련해서는 “2007년 효자지구 개발이 진행되면서 대단지 아파트(SK 등) 유입 등으로 인해 인근에 초·중고교의 부지가 확보된 상태다. 효자초 학부모들은 지난 10여 년 전부터 ‘(가칭)효자중학교’ 신설에 대해 교육청에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상도중과 항도중 과소책임은 모두 효자초 때문이다’는 소문에는 “이들 학교 모두 1학군에 소속돼 있다. 해당 학군에 거주해 진학해야 할 아이가 제철중학교로 위장전입과 학구 위반을 통해 진학해 1학군 소속 학교 중 일부 학교에서 과소가 발생하는 상황이다”며 “위장전입과 학구 위반 문제를 제대로 단속하면 제철중의 과대 문제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해명했다.
송재만 대책위원장은 “이 문제는 효자와 지곡 동네 간 갈등이 조장돼 서로 폄하, 비방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지곡 비대위에서도 문제 해결을 위해 협심해 달라”고 밝혔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