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올림퍼스의 노예들 <Ⅷ>

등록일 2022-07-04 19:50 게재일 2022-07-05 17면
스크랩버튼
/삽화 이건욱

필립은 술을 잘 마셨다. 훨씬 젊은 노마와 대작을 하면서도 쉽게 취하지 않았다. 취해서 내뱉는 말인가 싶어 들어보면 앞뒤도 맞고 과하게 나가지도 않았다. 마치 준비해 두었던 말처럼 부드럽고 막힘이 없었다. 취기가 오른 노마가 필립을 형님이라 불렀다. 필립은 새엄마의 오빠니 노마는 외삼촌이고 자기는 조카가 아니냐며 농담을 했다. 그러고는 노마에게 술을 사라, 외삼촌이 술을 사야 한다 말하고는 껄껄 웃었다.

-외삼촌, 하시는 일은 어떻습니까? 편합니까?

-몸이 편하고 안 편하고는 중요한 게 아니지요.

노마는 붉은 얼굴을 이리저리 흔들며 대답했다.

-내가 조카, 아니 형님에게 할 말은 아니지만요. 나이 든 사람들, 노인들 말이에요. 내가 나이 좀 먹었네 하는 사람들 모두 신 같아요. 신 알아요? 영원히 사는 것들. 올림퍼스 산 꼭대기에 있다가 내려 온 거죠. 아니지, 올림퍼스 산 전체를 땅으로 끌어내린. 그러면 나는 뭐냐? 신들을 먹여 살리는 노예죠. 죽어라 일하는 노예. 그 노예의 꿈이 뭔지 아세요? 신이 되는 거예요. 어렵지 않아요. 일찍 죽지만 않으면, 시간만 보내다 보면 저절로 나이가 들고 노인이 되고 신전에 들어가 있겠지요. 힘센 신이든 이름 없는 신이든. 형님이 들으면 기분 나쁠 수도 있는데, 하긴 오늘 내가 형님 기분 살피면서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지만, 사실 얼마 전까지 형님의 아버지를 인조인간이라 불렀거든요. 그런데 생각해보니 형님의 아버지, 그러니까 최 회장님은 그저 단순한 인조인간이 아니에요. 신이죠. 힘이 아주 센. 아, 그걸 내가 이제 알았네요. 이제 알았어.

노마는 혀가 꼬인 채 이야기했다. 술잔을 빙글빙글 돌렸고 테이블 밑으로 떨어뜨릴 뻔했던 술잔을 필립이 잡았다.

-우리가 좀 많이 마셨지. 이제 일어날까? 더 마실까?

-아니, 형님. 이제 시작이죠. 그런데 형님은? 형님은 뭐랄까? 아닌데? 신의 아들 느낌은 안 나는데. 형님은 뭐죠? 형님, 형님은 정체가 뭐예요?

-나? 나 최만식의 아들 최필립이지. 힘도 없고 뭣도 없는 노예. 참, 그러면 내 친구 한 명 부를까? 술은 세 명이 먹어야 맛이 나거든. 불러도 되지?

-친구요? 형님이 부르신다면 저야 뭐.

-인호, 인호라고 있어. 국회의원 쫄따구이자 아들, 평생 쫄따구.

 

다음날 안나가 노마에게 전화를 했다. 필립과 만나 무슨 이야기를 들었는지 무슨 말을 했는지 무엇을 얻었는지 물었다. 노마는 필립이 좋은 사람이라 대답했고 안나는 그게 뭐냐며 화를 냈다. 노마는 다시 만나기로 했으니 그때 다짐받으면 된다고 안나를 달랬다. 안나는 노마의 말이 끝나기 전에 전화를 끊었다. 걱정 하지 마, 잘 될 거야. 내가 알아서 잘 할게. 오빠만 믿어. 노마는 안나에게 문자를 보냈다.

허 형사는 이 사건을 빨리 끝내고 싶었다. 어떻게 끝이 나든 중요하지 않았다. 인공 장기의 ‘인공’이라는 단어를 볼 때마다 이 년 전 세상을 떠난 아내가 생각났다. 허 형사의 아내는 당뇨병 환자였다.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는 1형 당뇨. 그녀의 잘못은 아니었다. 그녀가 그렇게 태어났을 뿐.

허 형사는 그녀를 사랑했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가 겪게 될 합병증들에 대해, 환자들의 가족이 감당해야 할 것들에 대해 알지 못했다. 그깟 당뇨병 따위야. 요즘 세상이 어떤 세상인데. 완치할 수 없다지만 인슐린 주사 맞으며 잘 관리하다 보면 완치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겠지. 개발되지 않아도 되고. 조금 불편할 뿐이지. 당뇨병이라는 이유로 그녀를 포기할 수 없었다.

어느 날부터 아내의 몸이 붓기 시작했다. 가끔은 숨이 차다고도 했다. 발등부터 시작된 부종이 정강이까지 올라왔을 때 의사가 보호자를 찾았다.

-콩팥 기능이 한계에 다다라갑니다. 투석이든 인공 콩팥이든 준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생체 신장 이식을 받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었지만 요즘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늘어난 거지요.

허 형사가 의사에게 물었다.

-자기 콩팥으로 버틸 수 있는 시간이 전혀 없나요?

의사가 대답했다.

-어차피 무슨 선택을 하든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러니 미리 준비하시라 말씀드리는 겁니다. 옛날에는 자기 콩팥을 쓸 수 있을 때까지 쓰다가 마지막 순간이 되어서야 다른 방법을 찾았지만 요즘은 트렌드가 바뀌었습니다. 인공 콩팥이 워낙 잘 나와서요. 가능한 빨리 하는 것이 다른 장기의 합병증을 예방한다는 보고도 있고.

혈액 투석을 권하지 않는다는 말을 덧붙였다.

-일주일에 두세 번씩 병원을 방문하는 것, 쉽지 않는 일입니다. 게다가 환자의 심장이나 다른 혈관에 부담을 주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투석을 시작하면 평균적으로 십 년 뒤에는 결국 사망하거나 혹은 이식을 받아야 합니다. 다른 방법이 없었을 때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지만 지금은 다르니까요.

의사는 인공 콩팥 이식을 권했다. 문제는 돈이었다. 허 형사의 월급으로 감당할 수 없었다.

-시술비나 인공 콩팥의 가격도 그리고 보험 여부도 제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서. 나이라도 많다면 인공 장기 회사에서 지원을 받거나 새로 나온 모델을 시험하는 조건으로 달아 보기라도 할 텐데.

의사는 미안한 듯 말끝을 흐렸다.

-병을 치료하는데 나이가 무슨 상관입니까?

/김강 소설가

소설가 김강 연재소설 ‘Grasp reflex’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