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올림퍼스의 노예들 <Ⅵ>

등록일 2022-06-20 20:04 게재일 2022-06-21 17면
스크랩버튼
김강 연재소설 ‘Grasp reflex’
/삽화 이건욱

물론 부모가 돈이 많으면 조금 편하기는 하겠지. 없는 부모를 둔 것보다는 낫지 않겠어? 하지만 그건 우리가 녀석들에게 주고 싶은 만큼만, 내려주는 만큼만이지. 내가 어느 정도 내려줄지 나도 알 수가 없지. 어쨌건 뭔가 위에서 내려오기를 기다리는 건 옳은 자세가 아니잖아? 누군가 내려주기만을 바라는 것 말이지. 마치 당연한 듯 말이야. 쉽지 않겠지만 스스로 구해야지. 우리처럼. 그러다 또 안 되면 어때. 나이 들 때까지 버티면 되지.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명칭인데, 노년 기본 소득보다는 노년 기본 수당이 조금 더 마음에 들어. 기본 소득이라고 하면 뭔가 공짜로 받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단 말이야. 기본 수당, 이렇게 부르면 과거든 현재든 나의 공헌에 대한 대가, 당당하게 요구해도 되는 뭐 그런 것. 알잖아? 그런 기분.

방송에서, 인터넷에서, 사람들의 대화에서 반복되고 덧붙여지고 재생산되는 이야기였다. 노마의 아비는 어디선가 누군가로부터 들었을 이야기를 자기 것인 양 했다. 당신이 만든 이야기가 아니지 않느냐 굳이 따지는 사람은 없었다. 그들은 복습을 하듯 들었다. 자신들의 편안한 노후가 자신들의 과거로부터 전해진 것이라 믿었다. 이른 아침 길을 나선 아들과 딸이 늦은 저녁 집으로 돌아왔지만 그들은 개의치 않았다. 아이들? 우리의 시절보다 훨씬 나은 시절을 사는 거지. 그렇지 않아? 그들은 그렇게 여겼다. 그들의 아비 어미가 살았던 세상보다 그들이 살고 있는 세상이 더 낫다고 굳게 믿는 것처럼.

신이네, 신. 시동을 걸고 네비게이션 검색을 하던 노마가 중얼거렸다. ‘우리가 예전엔 혹은 우리도 예전에는’과 같은 탄생 신화를 가지고 ‘너희가 뭐라 해도’라는 힘으로 세상을 움직이며 ‘너희도 언젠가는’이라는 희망을 몸소 나타내는 신. 그리스 로마의 신과 차이가 있다면 이들은 그 수가 많았다. 전체 인구의 40%가 신이다. 나는 신전을 관리하는 시종 말단이거나 올리브 농장의 일꾼 정도 되겠네. 아니, 노예인가? 노마는 다음 목적지를 향해 엑셀러레이터를 밟았다. 끼익, 소리가 났다.

 

노마는 최 회장의 아들을 만나면 먼저 화부터 내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최 회장 아들 정도 되는 사람의 눈에는 교양 없는 행동으로 보이겠지만 이럴 때는 무식하게 나가는 것이 더 효과가 있을 것 같았다. 젊은 여자 배를 부르게 해 놓았으면 책임을 져야지. 뭐라고? 아이는 내 아이가 맞는데 결혼은 할 수 없다고? 그게 말이야? 노마는 소리를 지르고 삿대질을 하는 상상을 했다. 최 회장 아들이 얼굴을 붉히며 ‘일단 앉으시지요.’라든지 ‘여기서 이러지 마시고 자리를 옮기시지요.’하며 어정쩡한 자세로 마주 선다면 더욱 기세를 올려도 된다. 내가 말이야. 회사 사옥 앞에서 일인 시위를 할 참인데 그 전에 통보라도 해주려고 보자 그랬어. 이렇게 말을 던지는 거다. ‘무슨 일인 시위까지.’하며 굳은 얼굴로 쳐다보겠지. 아니, 이 사람들이 눈에 보이는 게 없나. 이게 일인 시위할 일이 아니면 뭐가 일인 시위할 일이야. 사람이 죽어 나가야 되는 거야? 찻잔을 집어 던지거나 주먹으로 테이블을 내려쳐야 한다. 그러나 그렇더라도 자리를 박차고 나오면 안 된다. 이건 기선을 잡기 위한 방편일 뿐이다. 화풀이를 하려고 만나는 것이 아니다. 화풀이가 목적이었으면 안나가 마이걸이 되었을 때, 최 회장의 아이를 가졌을 때 했어야 했다. 당당해야 한다. 노마는 정장이 아닌 작업복을 입고 나온 것이 잘한 선택이라 생각했다. 내 직업이 어때서. 성실하게 살아가는 노동자와 부자 아버지를 둔 금수저의 만남이 되는 거지. 게다가 그 부자 아버지는 노동자의 어린 여동생을 임신시켰고.

-혹시 안나 씨 오빠?

노마의 옆으로 한 중년 남자가 다가와 섰다.

-네, 그런대요.

고개를 돌린 노마가 처음 본 것은 검은 벨트의 황금색 H자 버클이었다. 회색 양복바지를 동여매고 있었다. 바지가 내려가지 않게 붙잡고 있는 것인지 아랫배가 쳐지지 않게 버텨주고 있는 것인지 분간하기 힘들었다. 무슨 일이 생기건, 언제 어느 때 건, 그게 무엇이든 꽉 붙잡고 있을 것은 분명했다. 작은 키와 삼각형의 상체. 노마는 최 회장의 아들이 대리인을 보냈다고 생각했다. 변호사를 보낸 건가? 이러면 버럭 하고 화를 낼 수 없다.

-아드님이 직접 나오시는 줄 알았는데.

‘아드님’이라니. ‘나오시는’이라니. 노마는 자신이 뱉은 말들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콧등과 이마를 찌푸리고 있는 노마에게 중년 남자가 손을 내밀었다.

-처음 뵙겠습니다. 제가 최 회장 아들 최필립입니다. 기대했던 모습이 아닌 가 봅니다.

-아, 아. 네에. 저는 아드님이라 해서 저보다 나이가 약간 많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짐작보다 연배가 훨씬 높아 보이셔서.

노마는 화를 내지 못했다. 얼굴을 본 첫 순간부터 공격적으로 나갔어야 하는데, 상대방이 당황하게 만들었어야 하는데.

-하하. 그렇군요. 저희 아버님 연세가 여든 일곱입니다. 저는 오십 둘이고. 제가 서른둘이면 되겠습니까? 이해가 되시지요? 하긴 안나 씨 뱃속에 있는 아이도 우리 아버지의 자식이니 아버지의 나이로 자식의 나이를 짐작할 수는 없겠군요.

필립은 짧은 미소를 보인 후 테이블 위 놓인 노마의 찻잔을 들여다보았다.

/김강 소설가

소설가 김강 연재소설 ‘Grasp reflex’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