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는 말레이계 65%, 중국계 22%, 인도계 9%, 기타 소수민족 등 다민족국가로 구성되어 있고, 말레이계 국민은 이슬람교를 믿는다. 공장을 짓기 위해 건축설계 허가를 받으려면 기도실이 있어야 한다. 근무 중에도 하루 다섯번은 기도를 하고 금요일은 인근 사원에 들러 기도를 하는 문화다. 이슬람교를 믿는 국민들은 술을 마실 수 없고 돼지고기, 소고기는 할랄 의식을 거친 허락된 식당에서만 먹을 수 있다. 맥주 두 잔 마신 말레이계 국민이 곤장을 맞는 종교재판이 권위가 있는 사회문화의 나라다.
필자가 P사의 말레이시아 해외법인 컨설팅을 갔을 때 일이다. 수도 쿠알라룸푸르시에 있는 호텔에 도착해 처음 간 곳은 이슬람교 큰 사원이었다. 호텔에서 식당으로 가는 길에 사원에서 들려오는 기도 소리에 나도 모르게 소리를 따라 40여 분 걸어가니 큰 사원이 나왔다. 손을 씻고 대웅전에 들어가보니 코오란이 있고 벽을 보고 기도하는 모습이 새로웠다.
현지 주재원과 첫 인터뷰를 했을 때 말레이계 직원은 내성적이고 적극성이 부족하고 부지런하지 않다고 했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사실과 달랐다. 말레이계 직원과 대화를 했을 때 첫마디가 공장 내 기도실에 거울과 손 씻을 수도를 설치해달라는 평범한 얘기였고 그들에게는 소중한 일이었다. 문화와 인식의 차이가 관리운영 방식에 오류가 생기고 소통의 벽을 만드는 형국이었다.
M법인은 250여 명의 직원 중 61%가 네팔, 방글라데시, 미얀마, 파키스탄 등 외국인 노동자로 구성되어 있어 소통하려면 영어, 각국 언어, 한국어 등 3중 통역을 하므로 일이 원활하게 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효율도 떨어졌다. 현장 낭비를 사진으로 보여주고 찾는 방법, 사례를 소개하고 실습을 시켰더니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말이 안 통해 묵묵부답의 일상이었던 외국인 노동자들의 눈빛이 살아나기 시작했다. 이후에 ‘SeeFeel&Change’란 모토로 말레이, 중국, 인도계, 외국인 노동자 등 모두가 대화하고 토론하며 현장의 큰 변화가 시작되었고 일하기 쉽고 편리하고 쾌적한 생산현장으로 변모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눈으로 보는 관리’ 체계를 만들고 개선 수준도 높여 나갔다. 어렵게만 생각했던 다국적 다민족국가, 사회문화와 다양한 종교, 회사 조직도 중국계, 인도계가 스태프를 맡고 생산직은 말레이계와 외국인 노동자가 일하는 요건에서, 소통과 좋은 직장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그 비결은 상대 관점에서 생각하고 사회문화, 종교, 생활습관 등이 다름을 인정하고 배려하는 것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복잡하게 접근하기 보다 Simple of Best로 작업개선을 통한 공감대가 형성되면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지며, 통하면 무엇을 하려 해도 성공적으로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최근 기업에서 MZ세대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은데, 새로운 시대의 생활과 문화, 사고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그 해답을 찾아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과도기 시대를 살아가는 기성세대의 관점을 바꾸면 성공할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