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함께 공청회 개최<br/>중소벤처기업부 내달 확정<br/>지정되면 2026년까지 조성
규제자유특구는 지역을 단위로 지역과 기업이 직면한 신사업 관련 덩어리 규제를 패키지로 완화해 주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지역으로의 투자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의 혁신성장과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정ㆍ고시한다.
이번 공청회는 중소벤처기업부에 신규 규제자유특구 지정신청을 위해서 필요한 행정절차인 특구 지역 주민과 기업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특구 사업계획(안)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반영하기 위한 것이었다.
전기차 차세대 무선충전 규제자유특구는 지난해부터 14개 비수도권 시도와 경북도가 치열하게 경쟁하며 예선과 본선을 거쳐 이제 3차 분과위원회만을 남기고 있으며 7월 중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경북도와 경산시가 추진하는 전기차 차세대 무선 충전 규제자유특구는 제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기술 여건 속에서 새로운 기술을 규제 없이 연구하고 산업화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것이다. 사업이 확정되면 이 특구는 경산지식산업지구 내에 2026년까지 172억원을 들여 조성된다. 무선 전력전송 기술 사업화 제약 규제 해소를 위한 생태계를 선점하게 된다.
이 곳에서는 △WPT4(20kw) 기반 다출력 전기차(EV) 무선 충전 인프라 실증 △전기차 유선 완속충전기(7kw) 연계형 무선충전 인프라 실증 △초소형 전기차 무선충전 실증이 이뤄진다.
경산시는 이러한 실증으로 4차 산업혁명 기반 자율주행 전기차 무선충전 시스템 시장 확대와 LEV(경전기 이동체) 관련 신사업 시장 진입장벽을 해결하는 기술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