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청정 동해안 보전나서
경북도 동해안 지역의 해양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보전가치가 있는 해역을 해양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하는 등 청정 동해안 해양생태기반 구축 사업에 적극 나선다.
12일 경북도에 따르면 동해 해양보호생물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포항 호미곶 주변 해역에 이어 울진 나곡리 주변 해역과 영덕 고래불 인근 해역에 대한 해양보호구역 지정을 추진한다.
특히, 경북 동해는 해양보호생물인 게바다말과 새우말의 주서식처로 게바다말과 새우말은 잘피종의 하나로써 대표 블루카본(염생식물·잘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생태계 등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 중 하나로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또한 울릉도 고유종인 해마와 같은 많은 수중동물의 산란장과 서식지로서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높고 탄소 중립을 통한 지속가능한 바다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경북도와 영덕군은 지난해 12월 국립 해양생물종복원센터를 영덕에 유치했다. 이 센터는 총사업비 373억 원 규모로 현재 실시 설계중에 있으며 2025년 개관한다. 경북도는 이를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보호생물 보존과 관리에 나서, 해양생물의 체계적인 종복원 증식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 확보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해양기반의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호미반도를 국가해양정원으로 조성해 생태계 복원과 생태관광을 연계해 산림과 바다, 인문·역사가 어우러진 명품 생태·힐링 공간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12월 해양보호구역(해양생태계보호구역)으로 지정한 호미곶 해역 일원은 국가해양정원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