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국
나는 나의 생을,
아름다운 하루하루를
두루마리 휴지처럼 풀어 쓰고 버린다
우주는 그걸 다시 리필해서 보내는데
그래서 해마다 봄은 새봄이고
늘 새것 같은 사랑을 하고
죽음마저 아직 첫물이니
나는 나의 생을 부지런히 풀어 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생’은 하루를 “두루마리 휴지처럼” 버리고 또 다른 하루를 다시 시작하는 반복의 연속이다. 그래서 생은 쓸쓸하다.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언제나 새로운 시작을 반복하는 것이 ‘생’인 것이다. 그것은 하루를 쓰고 버려도 우주가 항상 새로운 ‘생’을 ‘리필’해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렇다면 ‘생’은 우주의 선물이며 축복이다. ‘생’의 허무는 극적으로 역전되어, ‘생’은 본질적으로 기쁨을 주는 것으로서 긍정된다.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