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환동해본부, 경북대와<br/>‘환동해권 블루카본’ 심포지엄
경북환동해지역본부는 16일 경북대학교 블루카본 융합연구센터와 ‘환동해권 블루카본(맹그로브, 염습지, 해초류 등 연안 서식 해양생태계가 흡수해 저장하는 탄소) 자원의 보존, 발굴 및 활용 방안’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상향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환동해지역 해양생태계와 해양생물자원이 블루카본 자원으로 인증받기 위한 전략 마련과 유기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개최됐다. 특히, 국내·외 블루카본과 기후변화 대응 정책 동향에 대해 최신정보를 공유하고, 환동해안 잘피와 해조류의 해양부문 탄소흡수원으로서 역할과 국제 인증 방안에 대한 전문가 발표와 토론도 함께 진행됐다.
또한 주제발표에 앞서 동해안 지역의 해양생태계 보존과 활용 및 블루카본 자원의 복원과 확대를 위한 참여기관 간 업무협약 체결도 진행, 해양생태자원 관리와 블루카본 사업 활성화, 해양생명자원의 친환경적 활용 등 탄소감축 해양 신산업 육성과 블루카본 해양생태교육 활성화를 위해 협력키로 했다.
김남일 환동해지역본부장은 “블루카본은 탄소중립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경북 환동해지역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부상할 것”이라며 “오늘 심포지엄을 계기로 그간 서해, 남해에 집중돼 온 블루카본에 대한 관심이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동해로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이 보유한 해조류 자원은 연간 약 1만5천t 이상의 CO2 흡수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해조류는 현재 비식생 갯벌과 함께 인증조건 충족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현행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가이드라인에서 블루카본 흡수원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는 참여기관과 함께 기존 천연 잘피숲 현황 파악 결과를 바탕으로 환동해지역 잘피군락지 보존·복원·확대 사업을 추진하고, 동시에 해조류가 흡수한 탄소가 동해안 심해 무산소층으로 탈락 후 저장되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해 새로운 해양 탄소흡수원으로 인증받기 위한 연구개발(R&D)과 교육사업 등을 약 300억 원 규모의 국비 요청을 통해 추진할 방침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