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노송(老松) 아래 아무것도 없었다 (Ⅲ)

등록일 2022-03-07 20:23 게재일 2022-03-08 17면
스크랩버튼
소설가 김강 연재소설 ‘Grasp reflex’
/삽화 이건욱

이십이 년 전 필립의 형이 죽었다. 패러글라이딩을 하러 가던 중이었다. 새로 산 패러글라이더를 싣고 달리던 차가 호수에 빠졌다. 필립은 운전석 차창으로 빠져 나왔지만 형은 그러지 못했다. 차는 무거웠고 호수는 깊었다. 필립이 다시 호수 속으로 몸을 던졌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여섯 시간 뒤 형은 차와 함께 올라왔다. 안전벨트를 그대로 매고 있었다. 다른 세상으로 가는 길에서도 안전벨트가 생명줄이라 여긴 듯 보였다. 그날 만식이 변했다. 아니, 원래 그랬는지도 모른다. 필립이 모르고 있었을 뿐. 형의 자리에 서니 만식이 보였다.

이후 만식은 영원히 살기로 마음먹은 사람 같았다. 그것도 건강하게. 그는 건강에 관한 모든 것을 직접 챙겼고 수명 연장과 관계된 새로운 것들을 찾아다녔다. 만식이 기댔던 것은 의학 기술이었다. 새로운 기술과 신소재를 앞세운 인공 장기 업체들은 고가의 상품을 사용할 수 있는 돈 많고 절실한 소비자가 필요했고 만식은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을 원했다. 새로운 기술과 소재들은 만식이 지불한 금액만큼 효과가 있었다. 만식이 여든이 되었을 때 만식의 심장과 만식의 콩팥 중 하나와 만식의 간, 그리고 관절의 일부는 만식이 태어날 때 가지고 왔던 그것들이 아니었다.

큰아들이 죽은 후 만식은 담배를 끊었지만 담배에 대한 두려움은 그때부터 시작됐다. 내가 담배 냄새를 맡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어. 나는 담배가 가장 무서워. 만식은 담담하게 말했지만 비흡연은 올더앤베러의 채용조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되었다. 여태까지 피웠던 담배가 어디 가겠어? 언젠가는 내 목을 붙잡고 늘어지겠지. 만식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 말했지만 당연한 듯 받아들이고 기다리지는 않았다. 유난히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던 올해 봄, 한 달 정도 객담과 기침이 지속되자 만식은 수술을 선택했다. 의사의 만류는 의미가 없었다.

성공적인 인공 폐 이식 수술 후, 만식이 퇴원하던 그날 사고가 났다. 닷새 전이었다. 집으로 돌아오던 만식이 사라졌다. 만 삼십육 시간 후 동해안의 자그마한 부두에서 만식과 만식의 차가 발견되었다. 필립은 만식이 숨진 채 발견된 그날 만식의 시신을 받지 못했다. 유족의 동의와 관계없이 부검이 진행되었다. 경찰은 만식의 인공 심장과 인공 콩팥, 인공 간, 그리고 새로이 이식받은 인공 폐가 사라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만식은 자연 그대로의 인간이 되어 돌아왔다. 이틀 전이었다.

-그 참, 그렇지 않아도 형님께 조심하시라 말씀드렸었는데. 인공 장기를 노리는 나쁜 놈들이 있다 하더라고. 형님에게 그런 일이 생길 줄이야. 오래도록 건강하게 살자고 몸에 단 것들이 아니냐. 그런데 그것들 때문에 죽는 일이 생기다니. 참.

-경찰이 조사하고 있으니 기다려봐야지요. 결과를 바꿀 수는 없으니.

-그래, 경찰 쪽에서는 아직 연락이 없고?

-형사 한 명이 찾아오기는 했습니다. 짧게 이야기만 나누었습니다. 아주 특별한 일이 생기지 않는 한 상이 끝나기 전에는 연락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필립은 조용히 만식의 상을 치르고 싶었다. 만식이 어떻게 죽었는지,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세상의 주목을 받는 것이 싫었다. 만식의 죽음보다 인공 장기에, 사라진 인공 장기들보다 그 인공 장기들이 만식의 몸속에 있었다는 사실에 더 관심을 가질 것이 뻔했다. 사람들의 이야깃거리가 되는 것, 경찰서에 불려 다니는 것, 잊힐만하면 다시 무덤 속에서 불려 나오는 것, 필립은 원하지 않았다. 뭐가 중요해? 죽었다는 사실이 중요한 거지. 사람들의 무관심을 원했다. 어떻게 돌아가셨냐는 조문객들의 질문에 그렇게 되었습니다, 모호한 대답을 한 것도 그런 이유였다. 사라진 인공 장기들은 필립에게는 의미가 없었다. 어차피 장례를 치르려면 떼어내야 하는 것들, 애초에 달지 말았어야 하는 것들이었다.

 

김강 작가 2017년 제21회 심훈문학상 소설 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우리 언젠가 화성에 가겠지만’ ‘소비노동조합’ ‘여행시절’(공저) ‘당신의 가장 중심’(공저) 등을 썼다.
김강 작가 2017년 제21회 심훈문학상 소설 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우리 언젠가 화성에 가겠지만’ ‘소비노동조합’ ‘여행시절’(공저) ‘당신의 가장 중심’(공저) 등을 썼다.

필립은 가족과 친지들에게도 만식의 죽음에 대해 필요 이상의 말을 하지 말라 신신당부를 했다. 한 명의 조문객이 방문하기 전까지는 필립이 뜻하는 대로 흘러갔다.

-아이고, 이게 무슨 일입니까? 지난주에 문안 인사를 드렸을 때만 해도 웃는 얼굴로 덕담도 하고 그랬는데.

영권. 만식이 후원회장으로 있던 국회의원이다. 정치에 입문할 때부터 만식의 후원을 받았다. 영권의 뒤로 인호가 서 있었다. 필립은 인호와 눈을 맞췄다. 인호는 빙긋이 웃음을 지었고 필립은 고개를 가로저었다.

-이게 무슨 일입니까? 형님.

필립은 영권을 말려야겠다고 생각했다. 영권이 무슨 말을 할지 알 수 없었다. 무릎을 꿇은 채 영정을 바라보고 있는 영권에게 다가가 어깨를 잡고 일으켜 세웠다. 필립이 영권을 안고 빈소 밖으로 나가려는 순간 영권이 몸을 돌렸다. 영권의 일정을 취재하러 온 기자들을 향해 포즈를 취했다. 그리고 입을 열었다.

소설가 김강 연재소설 ‘Grasp reflex’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