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노송(老松) 아래 아무것도 없었다 (Ⅱ)

등록일 2022-02-21 20:01 게재일 2022-02-22 17면
스크랩버튼

안나가 방으로 들어가자 작은아버지가 낮은 목소리로 필립에게 안나를 어찌 할 것인지 물었고 다른 친지들도 한 마디씩, 마찬가지로 조용히 거들었다. 정식으로 혼인을 한 것도 아닌데 왜 빈소에 세워두느냐는 이야기, 앞으로 안나와 안나 뱃속의 아이를 어찌 대할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였다. 필립은 일일이 대꾸하지 않고 들었다. 필립의 대꾸가 없자 작은아버지도, 친지들도 더 이상 이야기를 잇지 못했다. 그들의 얼굴을 둘러본 필립이 입을 열었다.

-아버지의 아이를 가진 여자입니다. 그 아이는 작은아버지의 세 번째 조카이기도 합니다. 아버지 가시는 길에 인사는 하도록 두어야지요. 이후에 어찌 대할지는 아직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삼일 상중 첫날입니다. 지병을 앓다가 돌아가신 것도 아니고 말 그대로 황망한 일인데 어찌 이리 많은 생각들을 하십니까. 이러지들 마십시오. 빈소에서 조문객을 맞이하는 일, 쉬운 일 아닙니다. 저 여자가 감당해야 할 일이기도 합니다. 감당하게 할 것입니다.

필립은 목소리를 낮추지 않았다. 방 안에서 잠을 청하고 있을 안나가 들으라는 듯 크게 말했다.

안나는 필립과 필립의 작은아버지들이 나누는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 안나는 방안으로 들어서자마자 쓰러지듯 누웠고 잠을 청할 겨를도 없이 잠이 들었다. 안나는 꿈을 꾸었다. 만식이 찾아와 아이를 안고 가는 꿈이었다. 아이는 두고 가. 안나는 소리를 질렀지만 목소리가 나오지 않았다. 만식을 쫓아가던 안나는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고 잠이 깨었다. 핸드폰 벨이 울리고 있었다. 엄마에게서 온 전화였다.

-그깟 산전 진찰이야 하루쯤 미루면 될 것을. 수술 전부터 수술 후 회복할 때까지 하루도 빠지지 않고 옆에서 간병을 하면 뭐해. 그 하루로 도로아미타불이 된 것 아니냐. 넌 그날 같이 있었어야 해. 끝까지 그 늙은이 곁에 있었어야지. 그 늙은이의 재산 중 넘겨받은 것이 하나라도 있어? 절대 죽지 않을 것처럼, 늙지 않을 것처럼 병원을 쫓아다니면 뭣해. 이렇게 가버렸잖아. 지금 후회하면 뭣하냐. 아이고, 네 팔자도, 애 팔자도. 이왕 그렇게 살겠다고 마음먹었으면 좀 더 신경을 썼어야지.

이왕 그렇게 살겠다고 마음먹었으면.

안나가 만식을 만난다는 것을 안 그날부터 엄마의 입에서 떠나지 않는 말이었다. 이 모든 것은 네가 선택한 것이지. 그렇지 않니? 하고 다짐을 받는 말 같았다.

엄마는 내가 그 사람과 같이 있다가 무슨 일이라도 당했으면 어쩌려고 그랬어? 그러길 바란 거야? 다행이라고, 마침 산전 진찰이 그날이라 내가 무사할 수 있었다고 말해주면 안 돼? 안나는 엄마에게 이렇게 말하지 못했다. 애초에 기대하지 않았다.

머리맡을 더듬어 생수병을 찾았다. 일어나 앉아 물을 마신 뒤 가방에서 휴대용 청진기를 꺼냈다. 배꼽 아래에 갖다 대고 볼륨을 키웠다. 천천히, 규칙적으로 뛰고 있는 아이의 심장 소리가 들렸다. 안나는 왼손으로는 방바닥을 짚은 채 오른손으로 배를 쓰다듬었다. 당신. 이러면 안 돼. 나에게, 우리 아기에게 이러면 안 돼. 다시 꿈속으로 들어가 만식에게 따지고 싶었다. 자리에 누워 눈을 감았지만 잠이 오지 않았다. 생전에 만식이 했던 말들, 노마가 전해준 이야기들이 머릿속을 돌아다녔다. 문득 필립의 말이 떠올랐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 힘든 하루가 될 것입니다.’ 길고 힘든 하루.

 

-아드님 나이가 올해 어떻게 되지요?

둘째 날 저녁이었다. 필립이 식사를 하고 있는 조문객들에게 인사를 하던 중이었다. 테이블에 앉아 있던 오랜 거래처 사장이 물었다.

-말씀 놓으십시오. 이제 겨우 오십 둘입니다.

-오십 둘이라. 회장님이 올해 여든 일곱이셨지 않나?

맞은편에 앉아 소고기국에 밥을 말고 있던 또 다른 조문객이 물었다.

김강 작가 2017년 제21회 심훈문학상 소설 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우리 언젠가 화성에 가겠지만’ ‘소비노동조합’ ‘여행시절’(공저) ‘당신의 가장 중심’(공저) 등을 썼다.
김강 작가 2017년 제21회 심훈문학상 소설 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우리 언젠가 화성에 가겠지만’ ‘소비노동조합’ ‘여행시절’(공저) ‘당신의 가장 중심’(공저) 등을 썼다.

-네, 맞습니다. 여든 일곱. 하지만 몸과 마음은 청춘이셨습니다.

-그렇지. 정정하셨지. 삼십 년은 더 거뜬히 사실 것 같았는데. 안타까워, 안타깝고말고. 아드님 나이도 적지 않네. 회장님 밑에서 일을 배우고 있다고 듣기는 했지.

필립은 대답 없이 고개를 끄덕인 후 자리에서 일어났다. 모자란 것 없으신지 무엇이든 말씀하시라는 말을 남겨 놓고 빈소로 돌아왔다. 빈소로 돌아온 필립이 자리에 앉았다. 털썩, 소리가 났다. 작은 아버지가 필립의 무릎을 손으로 감쌌다.

-네가 고생이 많다. 하나 있던 형도 사고로 보내고, 어머니도 그렇게 가고, 이제 혼자 남았다고 생각하니 내 마음이 짠하다. 마음을 굳게 가져라. 네가 이제 우리 집안의 기둥이다. 형님이 너의 이름을 필립이라 지으신 것을 보면 이리 될 줄 예상하셨나 보다. 갑작스럽게 가시기는 했어도 형님에게 여한은 없지 싶다. 동생 둘을 먼저 보내고도 제법 사셨지. 하고 싶은 것도 다 해보셨을 것이고, 아닌가? 조금 억울하시려나? 건강하게 오래도록 살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다 했는데 이렇게 가다니, 이러시려나? 아무튼 힘을 내거라. 이제 곧 내 차례다. 허허.

소설가 김강 연재소설 ‘Grasp reflex’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