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표적 포털 사이트 네이버·다음에 울릉도 등산로가 잘못 표시돼 등산객이 조난을 당하는 사례가 발생,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울릉도 설산을 등반하던 대학생이 다음 사이트 등산로를 따라 설산을 등반하다가 조난된 것은 물론 지난해에도 30대 초반의 등산객이 네이버 등산로를 따라 등반하다 길을 잃고 조난 울릉119안전센터가 구조했다.
울릉119안전센터(센터장 윤희철)에 따르면 지난 7일 울릉도 설산 등산을 하다가 길을 잃고 헤매다가 다음날 구조된 대학생 A씨(남·26·서울시)는 다음 등산로 라인을 따라 산행하다가 길을 잃을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6일 울릉크루즈를 이용 울릉도에 들어와 이날 오전 10시께 라페루즈 뒤길을 이용, 등산을 하다가 길을 잃었다. 등산로가 없는데 그 방향으로 등산한 이유에 대해 A씨는 다음 등산로 라인을 따라 산행을 했다는 것
다음 사이트 울릉도 등산로에 라페루즈를 통해 성인봉으로 등산하는 길이 표시돼 있다. 네이버에도 등산을 클릭하면 테마, 즐겨찾기, 교통상황 등과 함께 등산로가 표시된다.
등산로를 클릭하면 다음 라인과 같은 등산로가 나온다. 등산로를 확대하면 산불방지통제구간 2월1~5월15일까지로 표시돼 있어 마치 등산로가 있는 것으로 표시돼 있다.
하지만 네이버와 다음에 표시된 이곳에는 등산로는 없다. 서면 통구미 능선(잿만당)에서 울릉읍 사동리로 넘어오는 둘레길은 있지만, 성인봉으로 올라가는 등산로는 없다.
포털에 표시된 등산로는 성인봉~소등더리(해발 750~800m)~두리봉~벼락산~가두봉까지 이어지는 산맥으로 울릉군이 울릉읍 사동리~서면 남양~웃통구미 경계(잿만당)까지 둘레길을 조성하면서 소등더리(릿찌)능선 해발 550m 지점까지만 등산로를 만들어 뒀다.
따라서 위로 더이상 올라갈 수 없다. 또한, 지난해 9월 26일 봉래폭로 뒷산에서 구조된 30대 초반 B씨는 네이버 등산로 라인을 따라 성인봉에서 봉래폭포로 내려오다 길을 잃고 울릉119안전센터에 구조 요청했다,
당시 B씨는 네이버 등산로 라인이 성인봉에서 봉래폭포까지 가장 짧게 표시돼 있어 빨리하산라려고 표시된 등산로를 따라 내려오다가 길을 잃었다고 말했다.이 두지역은 네이버와 다음에 등산로가 모두 표시돼 있지만 등산로가 없다.
이에 대해 울릉119안전센터는 네이버와 다음에 수차례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전화 연결이 되지 않아 잘못 표시 된 등산로 수정을 요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윤 센터장 “안전한 울릉도 성인봉 등산로는 울릉읍 KBS 중계소 뒤로 진입하는 코스와 북면 나리분지로 진입하는 코스 두 군데뿐이다"며"포털사이트에 등산로 라인을 아예 없애든지 정확하게 표시하든지 않으면 조난이 끊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