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도로 및 지하시설물에 대해 전산화 사업을 완료, 도시기반시설물의 과학적, 체계적 관리 및 업무체계 확립과 도로 굴착 및 각종 재해·재난 등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할 수 있게 됐다.
울릉군은 16억 7천여만 원을 투입해 2020년부터 2021년 12월 말까지 울릉군 전역에 대한 도로시설물 143.74km, 상수도 100.73km, 하수도 20.42km에 대한 전산화 사업을 완료했다.
울릉군은 16일 군청 제3회의실에서 관계 공무원, 용역수행업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울릉군 도로 및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은 1994년 서울 아현동 가스폭발 사고, 1995년 대구 상인동 가스폭발 사고 등을 계기로 본격화됐다.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도로 및 지하에 매설돼 있는 상·하수도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번 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지하시설물 DB자료는 도시기반시설물의 과학적, 체계적 관리 및 업무체계 확립,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위치 제공으로 도로굴착 및 각종 재해·재난 등 안전사고 예방한다.
또한, 지하시설물 전산화로 업무처리의 효율성 제고 및 행정업무의 능률 제고, 정보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대민서비스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김병수 울릉군수는 “이번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으로 지하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재난 및 긴급사태 발생 때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인터넷을 통한 생활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 군민생활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