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민-민 갈등’ 번진 포항 수성사격장 이전

이시라기자
등록일 2022-01-19 20:42 게재일 2022-01-20 4면
스크랩버튼
  권익위 중재안 ‘찬·반’ 의견 갈려 ‘네 탓 공방’ 점입가경<br/>“포항시는 국방부 편이냐” 미흡한 중재에 반발도 커져 <br/> ‘민관군협의체 구성’ 경북도·포항시 참여 독려 목소리도
“포항시는 왜 자꾸 현실성 없는 대안을 들먹여 시민들을 혼란스럽게 합니까.”

민·군 갈등으로 논란이 일었던 포항 수성사격장소음 피해 집단민원이 끝내 ‘민민(民民)’갈등으로 격화하는 모양새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중재안 마련으로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잠시 보이는 듯했지만, 결국 주민들 간의 입장 차만 확인하며 양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19일 오전 포항시 남구 장기면행정복지센터에서 김복조 포항시 남구청장과 이재도 경북도의회 의원, 33개 마을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2년 첫 이장회의’가 진행됐다.


주민들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그간 포항시가 보여준 무능한 행정에 대해 힐난하며 강한 반발심을 드러냈다. 특히 포항시가 주민의 편에 서서 행정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국방부 등의 편에서 일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불만을 표시했다.


이에 김복조 남구청장은 “장기면 수성사격장은 폐쇄 이전돼야 하고, 주민 전체가 공감할 수 있는 신중한 선택과 합치된 의견으로 대응해야 할 때”라며 “장기면의 미래가 걸린 사격장 폐쇄·이전, 지역 발전사업 등에 대해 신중하게 논의하기 위해 민관군 협의체가 필요하고, 협의체는 정관에 근거해 단계별로 주민 의견 수렴 선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관군협의체의 구성원은 주민대표 10여 명과 국민권익위원회, 정부부처, 경북도, 포항시, 국방부(해병대, 주한미군 등)로 꾸려질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시 남구는 민관군협의체 구성시 경북도와 포항시의 행·재정적 지원과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경북도와 포항시가 반드시 민관군협의체에 포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이장 A씨는 “‘포항시가 수성사격장을 폐쇄 이전해야한다’고 하는데 이런 이야기를 하는 건 전혀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며 “국방부 정책과장이라는 사람이 장기면에 와서 장기면을 다 덜어내는 한이 있더라도 사격장 이전은 절대 불가능하다고 했는데, 이런 현실성 없는 대안으로 주민들을 호도하지 마라”고 꼬집었다.


이장 B씨는 “일부 주민 대표단들이 상식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회의를 열어 권익위의 중재안을 받아들인 것으로 안다”며 “주민 다수의 의견이라면 따르겠지만, 자꾸 이런 식의 방법이라면 서로 상처만 주게 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실제로 이날 지난해 11월 주민 대표단 일부가 국민권익위원회의 중재안 수용 여부에 대해 ‘원안(국민권익위원회 중재안) 그대로를 수용한다’라는 공문을 보낸 사실이 밝혀지며 주민들 간 서로 옥신각신하기는 상황도 연출됐다.


이에 이장 C씨는 “다른 주민들이 반대로 해당 공문의 내용에 대해 수정을 요청했는데, 국민위원회 측에서는 별로 중요한 내용이 아니니 나중에 회의에서 논의하면 된다고 거부를 해왔다”고 주장했다.


한편, 2시간이 넘게 진행된 이날 회의는 찬성과 반대로 나뉜 주민들의 입장 차만 확인하고 끝났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