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정상과 비정상 사이

조지 오웰의 에세이 ‘위건 부두로 가는 길’에 보면 이런 이야기가 있다. 주거 환경이 매우
등록일 2022-01-19 20:30 게재일 2022-01-20 14면
스크랩버튼
강영식포항 하울교회담임목사
강영식포항 하울교회담임목사

조지 오웰의 에세이 ‘위건 부두로 가는 길’에 보면 이런 이야기가 있다. 주거 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방 하나에 열 한 명이 살고, 화장실은 공용으로 사용하는데 200미터를 가야 하는 곳에서 사는 광부들에게 “주거 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까?” 하고 기자가 물었다. 광부가 대답했다.“심각하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습니다. 다들 그렇게 사는 것 아닌가요?”기자는 이들에게 정상적인 마을의 집을 보여 주면서 다들 이런 집에서 산다고 했다. 그제야 광부는 자신이 사는 마을의 주거 환경이 심각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개선 해 달라고 요청했다. 조루주 캉길렘은 이것을 질병과 연관시켜 ‘정상과 질병’이라는 책을 썼는데 그 책에 보면 대부분 중환자가 되는 사람의 공통점은 자신이 병들었다는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건강한 정상인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라 하면서 정상과 비정상 사이의 상관관계에서 질병은 자란다고 했다.

예수 시대에 가장 주류가 되는 사람들은 바리새파 사람들이었다. 누가는 바리새파 사람들에 대해 “자기를 의롭다고 믿고 다른 사람을 멸시하는 자”라 했다. 예수는 “자기 눈에는 들보가 있어도 그것을 보지 못하고 잘 보이지도 않는 남의 눈의 티는 밝히 보는 자들”이라 했다. “병 없다 하는 이에게는 의사가 필요 없고 병이 있다고 하는 자에게 의원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바울은 자신에게는 문제가 없다고 하는 사람들을 향해 “의인은 없나니 한 사람도 없다”고 하면서 100% 정상인은 없음을 강조했다. 심지어는 남의 병을 치료해야 할 의원도 자기가 병들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해 예수에게서 “의원아 너의 병부터 먼저 치료하라”는 소리를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리새인들은 끝까지 자신들은 정상이요 다른 사람들은 비정상이라면서 정죄하고 징벌하였다. 이스라엘의 주류를 이루는 이들이 이런 생각을 가짐으로 이스라엘의 몰락을 초래했다. 조지 오웰이나 캉길렘이나 예수가 동일하게 주장하는 것은 정상적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비정상이라는 것을 깨닫지 않는 한 사회의 개선과 발전은 없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어떤가? 내로남불 남 탓만 너무하고 있지 아니한가? 나는 정상이고 너는 비정상이라고만 공격하고 있지 않은가? 정상과 비정상 사이에서 나는 정상이라고만 생각하고 있지 않은가? 예수는 비정상인 사람이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회칠한 무덤과 같은 사람이라 했다. 육신의 병이든, 마음의 병이든, 사회적 병이든, 신앙의 병이든 그 병을 치료하려면 먼저 무슨 병에 걸렸는지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속이 썩어 있는 회칠한 무덤과 같이 되지 않으려면 정상과 비정상 사이에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나는 정상인가 비정상인가?

종교단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