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의회직 인사, 균등한 기회 부여돼야”

김세동기자
등록일 2021-12-21 20:25 게재일 2021-12-22 5면
스크랩버튼
업무·인사 부담 비교적 낮아<br/>상당수 공무원들 근무 희망<br/>내년, 정책지원관  3명 채용 <br/>영주시·시의회 협의 진행 중

내년 1월 13일부터 지방자치법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지방의회에 독자적 인사권이 주어지는 가운데 영주지역에서 시의회 근무를 희망하는 공무원의 비율이 상당 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회 근무를 선호하는 배경에는 의회 업무가 본청과 읍면동에 비해 민원업무가 작은점과 인사이동에 따른 새로운 업무에 대한 부담감 해소, 상하 직속 관계의 단순화, 인사 경쟁 탈피, 업무 부담 해소 등이 주요 원인으로 해석된다.


21일 영주시와 영주시의회에 따르면 영주시가 지난 10월 1천여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의회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영주시가 5급 이하 공무원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응답율은 37% 수준이며 이중 의회근무를 원하는 수는 직렬과 관계 없이 100여명이 “선호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중 의회보직 직렬과 관계 없는 희망자 수가 50여명으로 나타나 의회직의 선호도를 엿보게 했다.


영주시의회에 근무가능한 직렬은 행정, 운전, 시설관계직 등이다. 영주시의회는 4급 의회사무국장을 비롯해 19명으로 구성돼 있다. 여기에 새롭게 채용될 정책지원관 3명을 포함하면 내년부터는 22명이 시의회에서 근무하게 된다.


영주시 공무원 A씨는 “의회직의 경우 산불진화, 코로나 업무, 비상근무 동원, 당직 등에서 본청보다 자유로운 편”이라며 “또 업무의 획일성, 민원으로부터 해소, 인사 경쟁으로부터 해소되는 점 등 장점이 많아 의회 근무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공무원 B씨는 “의회 인사는 일부 교체가 아닌 전면 교체가 전제돼야 한다”며 “균등한 인사 기회가 부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영주시는 영주시의회와 공무원 인사 및 새롭게 도입되는 정책지원관 채용을 두고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영주시의회 관계자는 “정책지원관의 경우 정부가 제시한 정책지원 전문인력 운영 가이드 라인을 기초로 현지 실정에 맞게 채용할 방침”이라며 “모든 것이 새롭게 시행되는 만큼 철저히 준비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영주/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