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치미 담그고 남은 자잘한 무 몇 개/ 밑동을 잘라내고 수반에 세웠더니/ 파릇한 싹이 돋아나 자꾸만 눈길을 끈다// 잘려진 무 동강이 기를 쓰고 밀어 올리는/ 꽃도 씨도 되지 못할 무모한 무의 싹이/ 겨우내 어둑한 방에 싱싱한 긴장을 채운다// 생명이란 무얼 위한 수단이 아니라고,/ 시시각각 그 자체로 목적이고 충만이라고/ 연약한 무 싹이 번쩍, 나를 들어 올린다” -졸시 ‘무 싹이 나왔다’
마트에서 사온 무나 당근도 며칠 두면 싹이 나온다. 생장조건이 맞지 않을 것 같은 비닐봉지 속에서 어느새 노랗게 싹을 내민 것을 버리기가 뭣해서 대강이를 잘라 수반에 세워 두고 한동안 함께 지내곤 한다. 서재 겸 침실인 좁고 어둑한 방에서 겨우내 무나 당근의 싹과 함께 호흡을 한다는 건 작지만 그런대로 생기로운 일이다. 먼지를 뒤집어쓴 수천 권의 책보다 무 대강이 하나가 내민 새싹이 훨씬 더 생생한 생명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다.
무나 배추 같은 채소는 봄에 씨를 뿌리면 장다리가 나와 꽃이 피고 씨를 맺는다. 그것이 한해살이 식물의 정상적인 한 사이클이다. 늦가을에 수확을 하는 김장용 무나 배추는 그런 과정을 벗어난 비정상적인 것이다. 사람의 용도에 맞게 인위적으로 품종개량을 하고 심는 시기를 늦추어서 꽃피고 씨를 맺지 못하도록 한 것이니 식물로서는 여간 억울한 노릇이 아닐 터인데, 아랑곳하지 않고 무성하게 자란다는 건 신기한 일이다. 그러니까, 식물의 성장을 두고 꽃 피우고 씨를 맺기 위한 수단이나 과정으로만 보는 것은 편협한 생각인 것이다.
위의 시는 오래 전에 그런 사실을 처음으로 깨닫고 쓴 것이다. 잘려진 무 동강이가 한사코 밀어 올리는 새싹을 무모하고 측은하게만 바라보던 나에게 어느 날 문득 한 소식이 온 거였다. 어떤 경우이든 생명이란 무얼 위한 수단이나 과정이 아니라 시시각각 그 자체로 완성이고 충만(充滿)이라는 깨달음이었다. 그것은 비단 무나 당근 같은 식물 뿐 아니라 모든 생명체, 인간에게도 해당하는 진리요 섭리라는 것이다. 삶의 무목적성이야말로 오히려 허무와 절망을 무산시키고 활로를 여는 역설이었다. 우리가 좌절하고 절망하는 것은 어딘가에 있거나 스스로 상정한 바로 그 목적이라는 틀에 갇혀 있기 때문이 아니었던가.
얼마 전 ‘대장동 사건’에 관련되어 수사를 받던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는 성남도시개발 사업본부장을 거쳐 경기도 포천도시공사 사장 자리까지 올랐으니 제법 출세를 한 사람이었다. 그런데도 극단적인 선택으로 생을 마감한 것을 미루어볼 때 그 출세가도가 공명정대하지만은 않았음을 짐작케 한다. 출세라는 목적을 위해서 나름 열심히 달려 왔겠지만 막상 막다른 골목에 다다르자 그동안 성취해온 것들이 별 소용이 없다는 사실에 절망하지 않았을까 싶다.
‘정권을 잡기 위해서는 무슨 짓이든 한다’는 것을 모토로 지금 대선판을 종횡무진 누비는 어느 후보도 그 결말이 아름답지는 못할 거라는 느낌이 든다. 그가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짓밟은 것들이 결국 그를 삼켜버릴 늪이 될 것 같은 예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