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화물연대 총파업… 경북 물류 ‘비상’

이시라기자
등록일 2021-11-25 20:03 게재일 2021-11-26 4면
스크랩버튼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 주장<br/>소속 회원 2만3천여 명 <br/>25~27일까지 전국서 일제히<br/>포항지부 9백여 명 동시 돌입<br/>철강업체 “장기화 대책 마련”
민주노총 공공 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25일부터 오는 27일까지 사흘간 총파업에 돌입했다. 25일 오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철강공단 인근 도로변에 파업에 동참한 화물차가 줄지어 서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25일부터 오는 27일까지 사흘간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대구·경북지역의 화물수송에 비상이 걸렸다.

전국에 위치한 화물연대 지부 소속 2만3천여 명의 회원이 동시에 파업에 동참해 ‘대규모 물류대란’사태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화물연대는 이날 0시부터 15개 지역본부에서 집단운송거부에 들어갔다. 화물연대가 총파업을 벌이기는 지난 2016년 10월 이후 5년 만이다.


25일 화물연대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노조는 이날 오전 10시께 구미시청 앞에서 출정식을 열었다.


노조에 소속된 조합원 1천300여 명 가운데 약 40%가 남구미 IC 입구, 아주스틸1공장 인근 구미 봉산2교 사거리, 코레일 철도CY 입구 등 3개 거점에서 농성을 벌였다.


국내 최대 철강단지인 포항에서도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시작됐다. 포항과 경주지부 조합원은 이날 오전 포항 철강 공단에서 출정식을 가졌다. 포항지부 소속 회원 900여 명도 이날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 운임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생존권 쟁취를 위한 운임 인상 △산재보험 전면적용 △지입제 폐지 △노동기본권 쟁취 등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지난 2018년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을 통해 만들어졌고, 2020년 1월부터 2022년 말까지 시행하는 것으로 돼 있다.


화물 노동자들은 안전운임제가 시행되면서 과로, 과속, 과적, 졸음운전 등이 줄어드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했다.


이에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를 2022년까지만 운영할 게 아니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화주와 운수사업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로 화물연대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화물연대와 타협안을 찾는 동시에 물류대란을 막기 위한 비상수송 대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포항지역 철강업체는 화물연대의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철도 운송을 확대하고 긴급자재 출하에 대해서는 경찰의 협조를 얻어 운송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대구와 경북에서는 물류 수송에 대한 차질이 발생하지 않았다.


화물연대는 오는 27일에 정부와 여당을 규탄하는 결의대회를 서울에서 열고 요구안 수용을 촉구할 계획이다.


화물연대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로 경유가 인상을 포함한 원가비용의 급격한 인상 등 화물노동자의 생계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는 화물자동차 안전 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을 통해 화물노동자에게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노조는 총파업 이후에도 정부가 요구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전면 투쟁에 돌입할 것으로 입장을 밝혔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