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겹게 우물을 오르락 내리락 하며 물을 긷는 한 노인을 보고 자공이 두레박을 사용해보라고 권면했다. 노인은 대답하길 “기계를 가진 자는 반드시 기계를 쓰게 되고 기계를 쓰다보면 언젠가는 기계의 종이 되어 버리게 된다”며 두레박의 사용을 거절했다. 두레박을 기계에 비유한 것이다. 기계에 너무 의존하다 보면 인심(人心)이 기심(機心)이 되어 인간본성을 잃어버릴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현대문명은 기계와 자본의 결합으로 이익을 추구하면서 편리함을 극대화 했지만 반면에 지구온난화를 불러와 자연이 파괴되고 기후변화로 인한 천재지변으로 동식물의 멸종을 가속화 시켜 지구종말 시계가 1분전으로 다가왔다고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는 경고했다. 생태학자는 이미 기계문명의 질주는 자연을 회복시킬 수 있는 터닝 포인트를 지났다고 하면서 기계와 자연의 공존을 논할 때가 아니라 이제는 자연으로 뒤돌아가야 한다고 했다.
정복자적 신학이 주축인 서구신학은 자연에서 생명원리를 제거하고 물체로만 인식하려는 데카르트-뉴튼-베이컨의 기계론적 자연관을 받아들여 자연을 지배와 정복의 대상으로 삼고 그것을 신이 주신 권리라 주장하면서 기계문명을 가속화 시켰다. 오늘날 생태계의 파괴로 초래한 기후변화의 위기에 서구기독교의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자연은 인간에게 무엇일까? 최근에 학자들은 자연의 치유기능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자연을 하루 20분 이상 대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13.4%가 줄어들고, 신체를 강화하고, 마음을 안정시켜 엄청난 치유의 효과를 가져온다고 했다. 자연은 정신과 육체만을 치유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루소는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살 때에는 불평등과 빈부의 양극화와 인간성 소외가 없었다면서 “자연으로 돌아가자”고 했다. 자연은 사회적 질병까지도 치유하는 기능을 한다. 하나님은 자연을 창조하면서 그 속에 치유의 속성을 넣어 두었다. 영혼이 피폐해진 다윗이 치유받기 위하여 하나님을 찾을 때에 하나님이 다윗을 데려간 곳은 성전이 아니었다. 다윗은 시편에 고백하기를 “그가 나를 푸른 풀밭과 쉴 만한 물가로 데려가서 거기에서 내 영혼을 소생 시키었다”고 했다. 하나님의 능력이면 어디서나 영혼을 소생 시킬 수 있지만 왜 자연 속으로 데려가서 영혼을 소생 시켰을까? 그것은 우리의 마음이 어디서나 똑같은 마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계 속에 묻혀 있으면 내가 기계의 일부라는 생각을 가지지만 자연 속에 들어가면 내가 피조세계의 일부임을 알게 되고 그 속에서 들려오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게 되기 때문이다. 자연은 내 영혼을 소생시킬 하나님이 주신 최고의 선물이다. 그것이 우리가 자연을 회복하고 찾아가야 할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