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렁울렁 울릉도라 오징어가 풍년이면 시집가요” 울릉도 트위스트 노랫말이다. 울릉도 어선 90%가 오징어채낚기 어선일 만큼 울릉도 하면 대표하는 바다 특산품이다.
노랫말이 빗대서 하는 가락이지만 실제로 과거 전 울릉도 주민들이 오징어 잡이로 생계를 이어가 오징어가 풍년이 아니면 시집갈 경비를 마련하지 못할 정도로 생계 의존도가 높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울릉군을 대표하는 군어로 지정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울릉군이 오징어를 군어로 지정했다. 울릉군은 지난 4일 울릉군의회에 개정조례안을 상정 통과 12일 공포ㆍ시행한다고 밝혔다.
울릉군은 울릉도를 대표하는 군목으로 후박나무, 군화 동백꽃, 군조 흑비둘기를 상징물로 지정했고 이번에 군어으로 오징어를 선정하게 됐다.
울릉도 대표로 최종 선정된 오징어는 울릉군의 대표 수산자원으로, 공식 상징물 지정을 통해 우리나라의 대표적 오징어 생산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그 대표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여론에 따라 상징물 변경을 추진해왔다.
군은 상징물을 지정하기에 앞서 주민 여론을 수렴하고자 지난 8월 11일부터 2주간 공무원과 관내 주민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했으며, 조사결과 오징어가 약 76%로 1위를 차지했다.
두족류 연체동물인 오징어는 울릉도 근해의 한류와 난류가 만나 자연 오징어 어장을 형성, 예로부터 오징어 조업이 울릉도 주 어업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울릉도 오징어는 말려서 판매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과거 육상과 교통이 불편한 울릉도에서 생물 오징어를 육지로 실어 낼 수 없었기 때문에 건조해 육지로 보내면서 건조어업이 발달했다.
울릉도오징어 건조는 덕장에 오징어를 대나무에 꿰어 걸어서 깨끗한 해풍으로 말리기 때문에 육지 오징어와 비교하면 맛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또한, 울릉도 오징어 조업은 대부분 당일 조업이 이루어져 그 신선도가 높고 타지역에서 잡힌 오징어보다 맛이 좋아 호평을 받으며 울릉군의 대표 특산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군을 대표하는 고유상징으로 맞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울릉도에는 산나물축제, 눈꽃축제 등이 있었지만 모두 중단됐고 유일하게 오징어축제만 울릉도 대표축제로 지금까지 계속 이어오고 있다.
과거에는 전 울릉군민이 오징어잡이와 건조로 살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는 1년에 1천t 미만이 생산되지만, 중국어선 북한수역 조업 전인 2004년 이전에는 1만t을 생산할 만큼 울릉도 최대 수입원이었다.
따라서 울릉도는 오징어와 함께 발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오징어는 울릉도를 상징한다. 어민 90% 이상이 오징어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김병수 울릉군수는 “이번 상징물 지정은 울릉군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라며 “오징어가 공식 상징물로 지정된 만큼 울릉군의 대표 수산자원인 오징어를 더 널리 알리고, 군어로서의 가치를 높이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