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의성 쓰레기산’에 생태교육장 들어선다

김현묵기자
등록일 2021-10-07 20:03 게재일 2021-10-08 9면
스크랩버튼
단밀면 방치폐기물 처리 현장, 환경부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선정<br/>총 85억 들여 탄소저감숲 조성 등… “생태계 회복 모범사례 될 것”

[의성] 말도 많았고 탈도 많았던 의성 쓰레기산에 생태교육장이 생긴다.

의성군은 단밀면 방치폐기물(속칭 쓰레기산) 처리 현장이 환경부의 ‘2022년도 도시생태축 복원 사업’에 선정됐다.

도시생태축 복원사업은 현 정부 주요 정책인 ‘그린 뉴딜’과 ‘탄소중립 2050’ 사업 일환이다. 도시 생태축이 단절·훼손된 지역을 생태적으로 연결하고 복원하는 사업이다.

사업대상지는 20만8천t의 폐기물이 장기간 야적됐던 의성 단밀면 생송리 일원 쓰레기산이다. 이 곳은 수년간 방치된 폐기물로 인해 생태축이 단절된 상태이다. 폐기물 처리 후 생태계 회복과 함께 쓰레기 처리에 대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85억원(국비 59억원, 지방비 26억원)이 투입된다. 내년에는 5억5천만원(국비 3억8500만원, 지방비 1억6500만원)을 들여 복원계획 수립과 실시설계 완료 후 2023년 지형정비 및 생태복원에 착수한다.

의성군은 생태축 복원사업을 통해 생태서식습지, 생태계류, 탄소저감숲, 곤충서식지, 생태교육장 등을 조성할 방침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만경산 산림생태축과 낙동강 수변생태축이 연결돼 지역생태계 복원은 물론 2천400t의 탄소 감축효과도 기대된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이번 사업은 방치폐기물로 인해 훼손된 자연생태계를 회복시키는 모범적인 복원사례가 될 것”이라며 “주변자원과 연계한 생태체험 네트워크가 형성돼 주민들에게 수준 높은 생태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의성 쓰레기산’으로 알려진 의성 단밀면 생송리의 불법폐기물은 2019년 8월부터 올해 초까지 1년 8개월간에 걸쳐 모두 처리됐다. 불법폐기물은 당초 예상치인 19만2천t보다 1만6천여t이 많은 20만8천t이 쌓여 있었다.

의성군은 2016년부터 폐기물 처리업체에 허용보관량 초과 반입 및 폐기물 처리명령 미이행으로 20여 차례 행정처분과 고발을 반복했다. 하지만 이 업체는 행정소송과 행정처분집행정지 신청으로 대응하면서 영업을 계속해 폐기물이 산을 이루게 됐다.

불법폐기물 처리에 나선 군은 처리 비용을 줄이기 위해 현장에서 폐기물을 선별했다. 그 결과 시멘트 보조연료로 9만5천t, 순환토사 등으로 5만2천t을 재활용하고 2만1천t은 소각, 4만t은 매립했다. 투입된 비용은 282억원(국비 185억원, 지방비 97억원)이다.

군은 ‘폐기물관리법’과 ‘행정대집행법’에 따라 폐기물을 무단으로 방치한 A재활용업체에 구상권을 청구해 행정대집행 비용을 징수할 계획이다.

/김현묵기자 muk4569@kbmaeil.com

남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