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 남양리 절벽 낙석 위험지역 조사…울릉산악구조대 밧줄이용 접근 점검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1-10-04 10:41 게재일 2021-10-04
스크랩버튼
울릉산악구조대원들이 밧줄 등반 중 휴식 중인 장면 발아래 서면 남양리 마을이 보인다
울릉산악구조대원들이 밧줄 등반 중 휴식 중인 장면 발아래 서면 남양리 마을이 보인다

울릉도는 화산섬으로 깎아지른 절벽이 대부분의 마을 뒷산으로 이뤄진 가운데 가장 위험한 서면 남양리 비파산(일명 국수산)의 낙석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비파산은 화산이 폭발해 굳어지면서 쪼개진 주상절리로 이뤄져 있지만, 울릉도 서면 남양리 마을 한가운데 우뚝 솟아있어 마을 주민들이 불안해하는 지역이다.

최근 큰 바위가 위험하다는 요청을 받은 울릉군산악연맹 울릉산악구조대(대장 한광열)가 90도가 넘는 절벽을 밧줄을 이용해 이 마을 뒤 낙석위험지역 조사에 나섰다.

서면 남양리 마을 주민들이 낙석 될까봐 조마심을 보이는 대형 바위 주변을 울릉산악구조대원들이 점검하고 있다.
서면 남양리 마을 주민들이 낙석 될까봐 조마심을 보이는 대형 바위 주변을 울릉산악구조대원들이 점검하고 있다.

서면 소재지이기도 한 이 지역은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살고 있어 위험을 머리에 이고 있는 것과 같다. 이에 따라 울릉산악구조대는 2일, 대원 10여 명 동원 깎아지른 듯한 절벽 낙석 위험지역 조사를 했다.

울릉산악구조대는 6명은 등반조(한광열, 최희찬, 박충길, 이경태, 장민규, 박은성)와 지원조 4명(김두한, 유병열, 김정욱, 이철희)으로 나눠 낙석위험지역 조사에 들어갔다.

울릉군산악구조대원들이 밧줄을 이용해 산 정상으로 접근하고 있다.
울릉군산악구조대원들이 밧줄을 이용해 산 정상으로 접근하고 있다.

등반조는 서면사무소 뒤(남양리 제당)를 통해 90도가 넘는 절벽을 밧줄을 이용 이날 오후 1시30분부터 등반을 시작 2시간 30분 만인 오후 4시께 현장에 도착했다.

울릉산악구조대원들은 대형 바위의 안착이 위험한 상태인지 주변 나무들이 성장하면서 위험성이 가중되지 않은지 등 낙석에 대해 점검했다,

울릉산악구조대원들 등위에 PVC파이프가 방치돼 있다. 이번 등반 중 구조대원들이 제거했다.
울릉산악구조대원들 등위에 PVC파이프가 방치돼 있다. 이번 등반 중 구조대원들이 제거했다.

이날 현장에 접근한 구조대원들에 따르면 마을 주민들이 염려하는 것처럼 위험하지 않고 안전하게 자리 잡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주변에 자라는 큰 나무는 이미 고사해 자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울릉산악구조대원들은 다른 지역에도 위험성이 있는지를 점검했지만 현재는 낙석할 바위가 없고 큰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조사를 마치고 오래전부터 마을 뒷산 가운데 흉물처럼 늘어져 방치됐던 PVC파이프와 파이프 속에 들어 있는 3가닥 유선을 모두 제거하기도 했다.

최실근(78)남양1리 노인회장은 “마을에는 현장에 접근할 사람이 없고 마을사람들은 늘 불안하게 생각해 고민이 많았는데 산악구조대가 절벽을 타고 올라가 낙석 위험성에 대해 확인해줘 감사하다”며“이제 좀 안심하게 됐다”고 말했다.

홍연철 서면장은 “울릉 산악구조대의 도움으로 걱정이 다소 해소돼 기쁘다”며“앞으로 주민들과 협의해 더욱 안전하도록 장치를 마련하도록 연구해 보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릉산악구조대에는 코오롱등산학교 강사 출신 대원도 있고 매년 암벽등반 훈련을 통해 울릉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울릉도는 화산 섬의 특성상, 험준하고 위험한 절벽이 낭떨어지가 많아 안전사고 발생이 잦고 특히 매년 산나물 채취 사고 등 산악사고가 많아 울릉산악구조대가 가장 필요한 지역이기도 하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