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인근해상에서 용오름 현상이 목격됐다. 용오름 현상은 지표면 가까이에서 부는 바람과 비교적 높은 상공에서 부는 바람이 서로 방향이 달라 발생하는 기류현상이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용오름 현상은 2일 오전 8시부터 울릉도 울릉읍 앞바다에서 발생 25분 정도 현상을 보이다가 사라졌다고 말했다. 이로 인한 어선 등 선박 피해는 신고 되지 않았다.
이날 울릉도는 오전 7시부터 천둥 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잠시 내렸고 이후 먹구름이 끼였지만 비는 오지 않았다. 이후 용오름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용오름이란 격심한 회오리바람을 동반하는 기둥모양 또는 깔때기 모양의 구름이 적란운 밑에서 지면 또는 해면까지 닿아있는 현상을 말한다.
태풍이 접근할 때, 한랭전선이 통과할 때, 뇌우가 몰아칠 때 등 대기층이 급격히 불안정해지는 상태에서 발생한다. 찬 공기가 머무르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따뜻한 수온과 맞물려 대기가 불안정해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 5시50분께 울릉크루즈 신독도진주호로 울릉도 찾은 관광객 약 700여 명이 울릉읍 도동리 숙소에 짐을 내려놓고 잠시 쉬는 시간 발생해 많은 사람이 용오름 현상을 목격했다.
관광객 A씨(56.경기도)는 “가족들과 함께 주말을 맞아 멀미 없는 대형여객선이 운항한다고 해 울릉도를 찾는데 듣기만 했던 용오름현상을 봤다”며“가족들의 건강을 빌었다. 행운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울릉도 해상에는 거의 매년 10월 초 용오름 현상을 목격할 수 있다. 울릉도 용오름 현상은 하늘에 먹구름이 끼면서 천둥 번개를 동반한 비바람이 내린 후 목격되는 경우가 많다.
용오름 현상은 지표면과 높은 상공에서 부는 바람이 서로 방향이 다를 경우 아래위 부는 바람이 사이에는 회전하는 소용돌이 바람이 형성된다.
이때 지표면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하여 적란운이 형성되면 지표면 부근에 발생한 소용돌이 바람이 적란운 속으로 상승. 거대한 회오리바람인 용오름(메조사이클론 Mesocyclone)이 형성된다.
이때 용오름은 상승기류의 통로가 되고 기압이 내려가게 된다.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하는 수증기들이 물방울이 되면서 구름으로 만들어져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의 구름을 벽운(碧雲)이라고 하는데 벽운은 점점 고도가 떨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지표면까지 내려와 소용돌이 구름을 만들게 된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