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국가도로망 종합계획 확정 남북·동서 각 10개축으로 재편<br/>대구·경북 권역 성주축 4차로 일반국도 구간은 고속망 검토 추진
국토교통부가 16일 국가도로망 계획을 포함한 도로정책의 중장기 비전과 목표를 담은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021∼2030)’을 최종 확정했다.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은 도로법에 따른 10년 단위의 도로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전문 연구기관(한국교통연구원)의 연구용역과 공청회, 관계기관 협의 등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수립됐다.
도로 건설의 근간이 되는 국가 간선도로망은 1992년 이래로 남북방향의 7개축과 동서방향의 9개축으로 구성된 격자망과 대도시 권역의 6개의 순환망으로 운영(7×9+6R)됐으나, 이번 계획을 통해 30여년 만에 ‘10×10+6R2’ 체계로 재정비됐다.
전체 국토에 대한 격자망의 경우, 국민들이 전국 어디에서나 간선도로에 더욱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남북방향의 10개축과 동서방향의 10개축으로 재편했다. ‘중부선’과 ‘중부내륙선’ 사이의 큰 이격거리를 보완하고 남북축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신규(진천∼합천)로 남북 6축을 도입했다. 또한, 광역 생활권의 교통수요를 감안해 기존 5대 대도시 권역의 순환형 도로망에, 주변도시와 중심부를 직결하는 방사축을 도입해 6개의 방사형 순환망(6R2, 6 Radial Ring)으로 발전시켰다.
특히, 대구·경북 권역의 성주축은 현재 4차로 일반국도 구간으로, 향후 교통수요 등 여건 변화에 따라 고속망 검토를 추진할 계획이다.
대구·경북권 대도시권 고속망은 기존의 방사형 고속간선망을 보환해 1개 순환축, 8개 방사축으로 순환·방사형고속망이 완성된다. 방사축은 현재 경부, 중앙, 중부내륙, 광주·대구 등 7개축 고속도로가 운영중이며, 1개축은 일반국도 운영 중이나 향후 교통수요 등 여건변화에 따라 고속망으로 검토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번 제2차 국가도로망계획 발표로 향후 10년간 도로계획으로 국가계획에 연계되는 지방도로 계획을 수립해 도민들이 국가간선도로망을 보다 안전하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향후 수립될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이번 수립된 계획들이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