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민의힘 ‘룰의전쟁’ 시작…심판 중립성 중요

등록일 2021-08-30 19:17 게재일 2021-08-31 19면
스크랩버튼
국민의힘이 오늘(31일) 대선경선 후보자 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경선에 들어갔다. 국민의힘은 9월 15일 1차 컷오프에서 8명, 10월 8일 2차 컷오프에서 4명으로 후보를 압축한 후 오는 11월 5일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경선버스가 출발하면서 경선룰에 대한 첨예한 신경전도 시작됐다. 첫 번째 뇌관은 ‘역선택 방지’ 조항이다. 앞서 국민의힘 경선준비위원회는 역선택 방지조항을 도입하지 않기로 이미 결론을 냈다. 그러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비롯한 일부후보들의 반발로 경준위 활동이 조기에 끝나고 선관위 체제로 넘어가면서 이 문제가 다시 쟁점이 됐다. 당 선관위가 이를 원점에서 검토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후보들이 역선택 방지조항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이 조항이 경선 결과의 주요변수이기 때문이다. 현재 야권 지지율 2위를 다투는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은 경준위 결정을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고, 최재형 전 감사원장,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역선택 방지조항을 도입해야 한다는 쪽이다. 윤 전 총장은 최근 “선관위 결정에 따를 생각”이라고 했다.


역선택 방지조항은 국민의힘과 무당층에 한정해 여론조사를 하는 방식이다. 여권 지지자들이 경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위해 고의적으로 약체 후보를 지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다. 도입을 반대하는 측은 ‘본선 경쟁력을 갖춘 최종후보를 뽑으려면 경선단계에서 보수층과 진보층을 구분해선 중도확장성이 저해된다’는 논리고, 찬성하는 측은 ‘막강한 동원력을 가진 민주당 열성 지지자들의 조작을 막기 위해서는 이 조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제 ‘뜨거운 감자’는 당 선관위 손에 넘어왔다. 선관위는 9월 5일 대선후보 간담회를 열어 경선룰에 대한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선관위원장인 정홍원 전 국무총리는 “경준위에서 마련한 것은 ‘안’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가감을 하기 위해 하나씩 심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이 역선택 방지조항 부분을 재론할 경우 선관위 내에서 극심한 진통이 예상된다. 어떤 경기든 심판의 공정성과 신뢰성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정 위원장의 중립적인 자세가 야당경선의 순항을 위해서 가장 중요하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