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그림자 노동

등록일 2021-08-18 20:05 게재일 2021-08-19 14면
스크랩버튼
강영식포항 하울교회담임목사
강영식 포항 하울교회담임목사

요즘 카페에서 커피를 주문하면 진동벨을 주는데 그 벨이 울리면 가서 커피 잔을 받아 오고 나갈 때도 커피 잔을 직접 반납해야 한다.

이런 일은 과거에 종업원들이 했던 일인데 고객이 직접하게 되었으니 고객이 왕이라는 시대는 지나가고 소비자가 종업원이 되었다가 고객이 되었다 하는 종객(從客)의 시대가 되어 버린듯하다.

노동을 하고도 그 대가를 받지 못하는 일을 이반 일리치는 그림자노동(Shadow work)이라 했다. 내 나름대로 그림자노동을 두 가지로 분류해 본다면 첫째는 상업적 그림자노동(Commercal Shadow Work)이다. 판매자가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직원을 줄이고 그 일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때 그 소비자의 노동이 이에 속한다. 둘째는 봉사적 그림자노동(Voluntary Shadow work)이다. 자원봉사는 무상노동으로 아무런 대가도 받지 않는다. 이에 대한 보상이 있다면 비 물질적인 보람과 기쁨으로 봉사적 그림자노동에 속한다.

성경에 포도원의 품꾼들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포도원 주인이 포도농사를 위하여 일꾼들을 찾아 포도원에 보낸다. 오전 6시에 온 일꾼이 있고, 오전 9시와 낮 12시, 오후 3시에 온 일꾼이 있고, 일이 끝나가는 저녁 5시에 온 일꾼도 있었다. 주인은 이들에게 품삯을 지불하였다.

일찍 와서 종일 일한 사람이나 늦게 와서 단 한 시간을 일한 사람에게 똑같이 하루품삯인 한 데나리온을 주었다.

그러자 일찍 와서 일한 사람들이 불평을 하였다. 잉여 노동에 공정한 대가를 받지 않은 노동을 그림자 노동으로 보고 그 노동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을 해 달라는 것이었다. 그러자 주인은 약속한 하루 품삯을 공정하게 지불하였고 늦게 온 사람에게는 내가 선을 베푼 것인데 그것을 당신은 악하다고 보는 것이냐 하면서 반문하였다. 늦게 온 사람에게 비하면 그림자노동을 한 셈이지만 약속된 하루 품삯을 받았으니 그림자노동이라 볼 수도 없다.

이 이야기의 요점은 노동에 대한 생각의 차이를 말함이다. 일꾼들은 자신이 행한 일을 상업적 그림자노동으로 생각하였고 주인은 봉사적 그림자노동으로 생각했다. 그 이유는 이야기 서두에 이 이야기는 천국을 위한 일이라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천국은 상업적 그림자노동으로는 만들어 지지 않고 오직 봉사적 그림자노동에 의해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그림자노동의 대표가 되는 가사노동을 상업적 그림자노동으로 생각하여 대가를 바란다면 가정의 천국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가를 바라지 않고 가정을 위해 봉사하는 그림자노동이라 생각하면서 할 때에 비로소 가정에 천국이 이루어진다. 우리가 사는 사회에도 봉사적 그림자노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 질 때에 천국과 같은 곳이 되어가지 않을까?

종교단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