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에서는 포항과 경주 등을 중심으로 번진 코로나19가 여전히 위중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전파력이 센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전국적으로 급속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일주일 사이 국내에서 발생한 델타 변이 감염자는 국내 감염자의 98%를 차지했다.
17일부터 전국적으로 2학기 개학이 시작됐다. 대구는 125개 중학교 중 54곳, 98개 고등학교 중 88곳이 개학을 했고, 나머지도 대부분 이번 주 개학을 한다. 초교는 다음 주 중 개학을 한다. 포항에서도 전체 128개교 중 28개 초중고가 개학을 했다.
교육부는 4차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3∼4단계가 이어지고 있지만 등교 확대 방침을 세웠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학습 결손을 더 방치할 수 없다는 생각에서다. 등교수업은 정서적으로나 사회성 함양을 위해 절대 필요하다. 학생들은 교우관계 형성이나 학교생활 적응으로 사회성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등교는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현장이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발생한 학습결손 해소를 위해서라도 등교수업은 꼭 필요하다.
그러나 집단수업이란 환경으로 코로나 감염증 전파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은 학부모가 자녀를 학교에 보내고 있으나 불안한 마음을 떨치지 못한다. 개학 첫날, 학생 스스로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자가진단앱에서 오류가 일어나 학부모의 비난을 샀다. 학교는 밀집생활 장소다. 대다수 학생은 백신접종 대상이 아니다. 학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지역사회로 전파될 가능성이 높다. 학교 내 방역관리가 철통처럼 엄격해야 하는 이유다. 개학은 했지만 학생 안전관리에 사회 이목이 집중돼 있다. 안전한 학교생활에 학교당국 뿐 아니라 우리 사회 모두가 신경을 써야 한다. 등교수업에 대한 기대감을 꺾는 불행한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