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평취수원 같이 사용하면 대구·구미는 한식구

등록일 2021-08-16 18:31 게재일 2021-08-17 19면
스크랩버튼
대구시민의 30년 숙원인 ‘취수원 낙동강 상류이전’이 구미시의 조건부 동의로 성사된 것과 다름없어 정말 다행이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지난 11일 “7월 14일 열린 구미지역 합동설명회에서 한정애 환경부 장관, 이철우 경북도지사, 권영진 대구시장은 해평취수원 공동이용으로 인한 구미시민의 피해가 없을 것이라고 분명히 밝혔다. 환경부의 심의 내용과 대구·경북지역의 상생관계, 구미시의 현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환경부의 정책안을 신뢰하되 앞으로 정부의 이행여부와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이라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환경부의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사실상 수용한 것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즉각적으로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활용에 구미시장이 조건부 동의 입장을 밝힌 것에 감사를 표한다”고 화답했다. 권 시장은 “구미시와 협정을 체결하는 즉시 해평취수장 인근 지역 주민을 위한 예산 100억원을 구미시에 지원하고 농축산물 직거래 장터를 통해 인근 농가 소득 향상을 도울 계획이다. 그리고 구미국가산업단지 제5단지 분양 활성화를 위한 입주 업종 확대 등 구미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서도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약속했다. 대구시에 따르면, 해평취수장 공동사용에 대한 공식적인 협정식은 추석전에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권 시장은 “국무총리가 주재하고 대구시와 경북도, 구미시 등이 참여하는 협정서 체결을 시·도민에게 추석 선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는 1991년 낙동강 페놀 사태 이후 30년간 이어져 온 해묵은 과제다. 구미공단 입주업체의 페놀유출 사건을 계기로 대구시민들은 식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하길 희망해 왔지만 구미시가 계속 반대하면서 그동안 답보 상태에 머물렀다.

구미시장이 해평취수장 공동활용에 대해 조건부 동의를 하긴 했지만, 협정서를 체결하기 까지는 아직 난제가 남아 있다. 구미시의회와 구미시장이 이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와 구미시는 해평취수장 공동사용에 반대하는 측을 대상으로 끝까지 설득을 해서 유종의 미를 거두길 바란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