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찰청이 안전속도 5030 정책 시행 이후 100일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 제도가 적용된 속도 하향 구간에서는 교통사고 사망자가 지난해 22명에서 올해 10명으로 54.5% 감소했다. 대구는 사망자 감소율이 전국 특별·광역시 7곳 중 가장 높았다. 이 제도를 적용하지 않은 구간에서는 교통사고 사망자가 지난해 6명에서 올해 9명으로 늘었다. 차량 속도를 낮추는 정책이 사망사고를 줄이는 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의 과속단속은 유예기간인 3개월 동안은 하루 평균 879건이었다. 그러다가 단속 및 과태료 부과를 시작한 이후에는 801건으로 줄었다. 과속단속 건수가 생각보다 크게 줄지 않은 것은 아직 과태료 부과 초기여서 운전자들이 제한속도가 낮춰진 것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운전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안전속도 5030정책이 시행된 이후 불편하다는 반응이 많다. 매일 도심을 운행해야 하는 택시·버스 업계에서는 “도로마다 제한 속도가 다르다 보니 단속에 걸릴 확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나 보행자 안전을 지키고 교통사고 발생 위험을 줄이려면 도심도로에서 차량속도를 낮추는 정책은 꼭 필요하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이 정책을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있다. 안전속도 5030정책 시행 이후 운전자들이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속도를 크게 줄이거나 멈춰서는 경우를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도 이 정책이 정착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차가 당연히 속도를 줄인다는 생각을 하면서 차분하게 도로를 건너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다.
주행 제한속도 낮추기는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의 선진 교통문화로 나아가는 과정이다. 이 정책이 성공해서 교통사고율을 확 낮추려면 운전자와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