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네 오른쪽 뺨을 치거든 왼쪽 뺨마저 돌려 대어라.” 잘 알려진 예수의 가르침이다. 이 가르침은 비실제적이고, 피학적이고 자멸적이다. 이것을 비폭력무저항주의라고 하기도 하고, 무한히 양보하는 사랑이라고도 한다. 이 가르침의 해석을 위한 배경을 미쉬나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가르침은 불의한 지배자와 피지배자와의 관계를 상정한다.
미쉬나에는 동급신분에서 손바닥으로 상대방의 뺨을 때리면 200일에 해당하는 품삯을, 손등으로 때리면 400일에 해당되는 품삯을 벌금으로 물어야 한다고 했다. 손등으로 치는 행위는 모멸감과 수치를 주기 위한 것으로 육신의 상처보다 더 깊은 상처를 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당시에 손등으로 뺨을 치는 행위는 노예나 아내나 자녀나 여자나 피지배국의 사람에게 모욕과 수치를 주는 행위로 지배자의 차별적 힘을 보여주기 위함이며 이 경우에는 벌금이 주어지지 않았다. 예수 당시의 이스라엘은 로마의 피지배국이었고 이들은 계급, 인종, 성별, 연령, 신분의 차별을 받고 종종 지배권력자들에 의해 손등으로 뺨을 맞고 멸시와 수치를 당하였다. 일반적으로 상대방의 오른 뺨을 손바닥으로 치려면 왼손을 사용해야 한다. 당시 왼손은 불결한 일을 할 때만 사용하였다. 쿰란 공동체 생활규칙에는 왼손으로 손짓만 해도 열흘간 속죄 고행을 처벌로 받았다.
결국 오른손을 사용해야 하는데 오른 뺨을 오른손으로 치려면 손등으로 칠 수밖에 없기에 오른 뺨을 치는 행위는 주로 피지배자에게 굴욕감을 주려 할 때이다. 그런데 예수는 오른 뺨을 맞은 뒤 오른 뺨을 한 번 더 대어 주어라고 하지 않고 왼 뺨을 대어 주라고 했다. 왼손 사용이 금지되어 있기에 왼 뺨을 치려면 오른 손바닥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미쉬나에는 손바닥으로 치는 행위는 같은 신분의 경우일 때이다. 결국 왼 뺨을 치는 행위는 피지배자를 동등한 관계로 인정하는 셈이니 결국 왼 뺨을 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왼 뺨을 대어 주는 행위는 계급, 인종, 성별, 연령, 신분의 차별을 고발하고 동등함을 주장하는 약자의 비폭력무저항 운동이다.
간디는 비폭력항의에 대해 “모든 굴욕감을 주려는 것에 대한 비폭력적 저항”이라 했다. 피지배자인 인도인들이 끝없이 줄을 지어 맞고 쓰러지고 또 맞고 쓰러지는 행위를 보고 지배국의 영국기자는 오히려 수치와 부끄러움을 느꼈다고 했다.
결국 왼 뺨을 돌려대는 행위는 지배자들의 차별에 대한 저항이요 불의한 지배자들을 부끄럽게 하는 비폭력무저항운동이다. 갑질과 언어폭력이 난무한 우리 사회에 정작 부끄러워해야 할 사람이 누구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가르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