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행복을 담는 그릇

등록일 2021-06-23 20:08 게재일 2021-06-24 14면
스크랩버튼
강영식포항 하울교회담임목사
강영식포항 하울교회담임목사

그날에 잡을 고기를 잡아 놓고 여유롭게 누워 쉬고 있는 어부를 보고 한 부자가 말하길 “더 많은 고기를 잡으면 더 큰 배를 살 수 있고 그러면 더 큰 부자가 될 수 있다”고 했다. “큰 부자가 되면 뭐하느냐?”고 어부가 물으니 자기처럼 평안히 삶을 즐길 수 있다고 한다. 어부는 흐뭇한 미소를 지으면서 “당신은 지금 내가 뭘 하고 있다고 생각하시오? 나는 지금 평안히 삶을 즐기고 있는 중이요”했다. 소확행을 생각나게 하는 앤소니 드 멜로의 글이다.

얼마 전부터 소확행이라는 말이 유행이다. 작은 것에서 확실한 행복을 얻는다는 뜻이다. 사회학자들은 미래가 없는 절망적인 청년들이 작은 것에서 행복을 찾아 나서면서 이 말이 생겼다고 한다. 청년들이 큰 꿈을 가지지 않고 현실 도피적 이기주의, 꿈과 이상을 쟁취할 진취성이 없는 나약한 인간으로 전락하게 된다면서 이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있다. 반면에 미래가 암울한 칠포세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에게는 현실적인 생존전략으로 이를 부정적으로만 봐서는 안 된다는 사람들도 있다.

미국의 신경생리학자 애넛 비튼과 이스라엘의 루드 그로스 이서로프라는 사람이 자살하여 죽은 시체와 자연사 하여 죽은 시체를 놓고 뇌의 구조를 정밀 분석해 보았더니 사람의 뇌 속에는 행복을 담는 그릇이 있는데 자살한 사람의 경우 보통 사람보다 아홉 배가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의학적인 용어로는 ‘엔도르핀에 대한 반응인자’이다. 행복한 사람은 뇌 속에 행복을 담는 그릇이 작아서 사소한 일에도 행복을 느끼지만 자살자의 경우는 행복의 그릇이 너무 커서 왠만한 것으로는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행복은 뇌 속에 행복을 담는 그릇의 크기에 달렸다는 것이 뇌 과학자들의 연구결과이다.

옛날보다 더 살기 좋아졌는데 왜 사람들은 삶의 의욕을 더 잃어버리고 우울증에 시달리다 자살까지 하게 되는 것일까? 왜 우리보다 경제적으로 뒤지는 나라 방글라데시나 부탄 같은 나라의 행복지수가 우리보다 더 높을까? 그들의 뇌에는 우리의 뇌 보다 행복을 담는 그릇이 작기 때문이라고 뇌 과학자는 말한다.

예수님을 만난 사마리아 여인은 남편이 다섯이 있었는데도 행복하지 못하여 또 다른 남편을 두고 있다고 했다. 예수는 이 여인에게 또 다른 남편에게서 부족함을 채우려 하지 말고 하나만으로도 그 속에서 마르지 않는 생수를 찾으라 했다. 이는 행복의 그릇을 크게 하지 말고 사소한 것으로도 채울 수 있는 작은 행복의 그릇을 만들라는 뜻이기도 하다. 오늘 우리는 뇌 속에 행복을 담는 너무 큰 그릇을 만들고 있는 것이 아닐까?

종교단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