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순흥벽화 고분’ 종합정비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br/>인근에 박물관 건립 추진… 지역 새로운 랜드마크로 활용
시에 따르면 순흥 일원의 역사문화자원 보존 및 관광자원화를 위해 ‘순흥 벽화 고분’ 인근에 이같은 박물관 건립을 추진 중이다.
2018년 ‘순흥 벽화 고분’ 주변 일원에 대한 정밀지표조사 결과 ‘순흥 벽화 고분’과 ‘어숙묘’가 위치한 비봉산에만 수백여 기의 삼국시대 고분이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근까지 포함할 경우 순흥 일원에만 1천여 기 이상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31일 시청 강당에서 ‘영주 순흥 벽화 고분’ 종합정비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및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장욱현 영주시장을 비롯해 문화재위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순흥 벽화 고분(사적 제313호)’은 1985년 이명식 대구대 교수에 의해 발견됐다. 현재까지 남한에서 발견된 삼국시대 벽화 중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분 내부에는 역사상(力士像)을 비롯해 연꽃, 구름무늬 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무덤이 조성된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명문(기미중묘상 인명□□, 己未中墓像 人名□□)이 확인된 흔치 않은 사례이다.
‘순흥 벽화 고분’에서 3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어숙묘’도 벽화 고분이다.
석실로 출입하는 돌문에서 명문(을묘년어숙지술간, 乙卯年於宿知述干)이 확인됐다.
장욱현 시장은 “순흥 벽화 고분과 주변에 산재한 수많은 고분은 고대 교통 중심지인 소백산 죽령을 둘러싼 고구려와 신라의 패권 다툼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며, 철도 교통의 중심지 영주시 이미지를 강화하고 발전적 미래상을 제시하는 원천”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의 우수한 문화자산을 보존·정비하고 활용해 영주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