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은 죽었다. ‘벚꽃피는 순서대로’ 죽어갈 것이 아니라 우리 대학은 이미 죽었다. 막상 닥친 문제들을 놓고 보면 딱하기는 하다. 폐교위기에 봉착하여 교직원들에게 체불 임금이 쌓여간다니 어쩌나도 싶다. 청산과 파산 소리까지 들리니 큰일이 났구나도 싶다. ‘한계대학’이라는 새로운 단어에는 대학들이 만난 어려움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예견해 오던 ‘인구격감’ 사태가 실제로 학령인구 연령층에서 전개되면서 대학은 신입생충원에 벽이 생겼다. 대학신입생 모집정원이 고교졸업자수 보다 많아졌다. 인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이므로, 대학정원을 채우기는 갈수록 힘에 부칠 터이다. 그럼에도 ‘입시지옥’ 현상이 개선되지 않는 현상이 신기하기는 하다.
모든 게 돈 걱정이다. 대학의 위기라지만 결국은 ‘재정위기’를 말하는 게 아닌가. 학생 수가 격감하여 대학 수입에 빨간불이 들어왔다는 게 아닌가. 등록금 수입이 줄어들어 체불임금이 늘어가면 학교경영이 어려워지고 교육부가 재정지원을 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한계대학들로 내몰려 재산청산에 나서 학교재산을 처분하고 법인이사진 직무정지와 함께 폐교수순을 밟는다. 돈 때문에 생긴 문제를 돈으로 해결해 보려하지만 결국 돈이 모자라 학교는 사라진다는 게 벌어질 일의 전부가 아닌가. 대학을 걱정해야 하는데 결국 돈 걱정에 빠진다. 대학이 무엇이며 학생들이 무엇을 하러 대학에 가고 교수들이 무슨 까닭에 대학에 모이는지는 누구도 고민하지 않는다. 대학이 ‘교육’기관이었다는 자각은 어느 구석에도 보이지 않는다. 아무도 대학의 본질을 고민하지 않으므로, 대학은 이미 죽었다.
대학의 문제는 대학만의 문제는 아니다. 인구감소를 비롯한 사회구조적 문제, 대학입시제도를 포함한 시스템의 문제, 초중고등학교의 공교육기반 정비문제, 대학교육의 필요를 바라보는 사회문화적 인식의 문제 등 고민해야 할 가닥이 여러 겹이다. 학생수 감소와 대학수입 격감과 함께 닥친 재정위기에만 천착한 제도정비와 입법고민은 대학문제의 본질을 개선하지 못한다. ‘대학교육’을 초점삼아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야 한다. 대학은 누구에게 무엇을 어디에서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지 첫 페이지부터 다시 고심해야 한다. 재정문제에 지혜를 모음과 동시에 대학의 본질에 관한 적극적인 고민이 없으면 대학이 역동성을 회복하는 일이 어려울 지도 모른다. 본질을 외면한 돈문제 고민은 허망한 제자리뛰기만 반복하게 할 터이다.
대학 스스로 바뀌어야 한다. 완전히 새로운 대학의 모델을 찾아야 한다. 강의방식이 바뀌고 연구시스템도 달라져야 한다. 대학구성원들이 만나고 헤어지는 일부터 교육과 연구의 결실을 나누는 일까지 모두 변화해 간다. 등록금의존도에 충격적일 만큼 대학의 수익구조도 다시 생각해야 한다. 교육부와 관련 기관들도 대학이 가진 문제들을 보다 거시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돈으로 대학교육을 건질 착각에서 깨어나야 한다. 교육을 살려야 대학이 산다. 대학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