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시-전북도, 나노소재 기반 전자소재부품 실증 지원

이곤영기자
등록일 2021-05-19 20:30 게재일 2021-05-20 2면
스크랩버튼
공동 기획 ‘첨단나노소재부품 사업화 실증기반 고도화 사업’<br/>산업부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공모 선정, 5년간 144억 투입

대구시가 전북도와 공동으로 기획한 ‘첨단나노소재부품 사업화 실증기반 고도화 사업’이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로써 대구는 나노소재 기반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전주기 지원체계 고도화에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19일 대구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산업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학연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핵심 산업기술 분야의 시설·장비 구축을 지원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총 144억 원을 투입해 이미 구축된 연구시설·장비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기술개발이나 사업화 과정에서 필요한 시험분석, 시험생산, 실증 등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나노소재 기반 조명·디스플레이 △LED 및 반도체용 고방열(高防熱) 소재 △나노소재 기반 유연 인쇄전자부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세라믹 소재 분야의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동안 대구테크노파크 나노융합실용화센터는 나노 융복합 소재,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는 유연 인쇄전자 및 디스플레이 분야를 중점 지원해 왔다.

그러나 이번 산자부 공동 사업 선정으로 대구시와 전북도는 이미 구축된 나노 인프라를 연계 활용해 소재·공정·제품 실증 결과의 객관성 확보가 가능해지게 됐다. 이에 따라, 혁신적인 전자소재부품 사업화를 추진하는 나노 중소·중견 기업들은 전자소재부품의 성능 확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고, 전자소재부품 산업 트렌드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례로 접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초박막 유리(UTG, Ultra Thin Glass) 소재를 개발하는 지역기업 A사의 경우, 개발 제품의 내구성 테스트 및 성능 인증에 난관을 겪고 있었으나 이번 사업을 통해 인증시험 성능 확보로 국내 대기업 납품이나 해외수출 확대에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전자소재부품 산업 트렌드의 급격한 변화 속에 불확실한 미래를 위해 투자가 어려운 지역 나노 중소·중견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 향상 및 국산화를 통한 글로벌 산업위기 대응력이 강화되며, 기업지원과 나노 인프라 활성화로 2030년 누적 매출 1천500억 원 및 기업매출 확대에 따른 2030년 누적 고용 창출이 약 600명 기대된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대구와 전북 간 상생협력 모델로 국가 나노 인프라를 기업들이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기술과 인적 네트워크 교류가 확대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한편 좋은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다”며 “대구시도 소재부품 기업의 자립화 지원에 더욱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