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서 발굴된 독도강치 뼈 희소성높다… 해수부, 전시·교육활용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1-03-23 15:09 게재일 2021-03-23
스크랩버튼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9월 울릉도 인근해역에서 발굴한 바다사자(독도 강치) 뼈 40여 점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 인계, 유전체 연구와 대국민 전시·교육에 활용할 계획이다.

울릉군독도 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북해도에 주로 서식했고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와 독도가 주요 서식지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시절 대량 포획된 이후 개체 수가 급감, 1990년대 중반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절멸 종으로 분류된 바 있다.

해양환경공단과 부산대는 지난해 9월 환동해 기각류 서식실태조사를 수행하면서 과거 바다사자가 서식했던 울릉도 서면 통구미 가재굴에서 바다사자로 추정되는 동물 뼈를 발굴했다.

이후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2007년 국제유전자정보은행(NCBI)에 등록된 바다사자 유전자 정보와 최대 99.39% 일치함을 확인했다.

바다사자(강치)
바다사자(강치)

이는 문헌상 울릉군독도뿐만 아니라 울릉도에서도 서식했다고 알려진 바다사자가 실제로 울릉도에 서식했음을 과학적으로 밝혀낸 것이다.

발굴된 바다사자의 뼈는 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전 세계적으로도 바다사자 뼈·박제 표본은 네덜란드, 영국, 일본 등 국외 기관에 총 20여 점밖에 존재하지 않아 희소가치가 높다.

해양환경공단과 부산대는 뼈를 안전하게 보존하고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뼈 표본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 이관하고, 바다사자 연구와 대국민 교육 등에 적극 활용되도록 기관 간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발굴 뼈를 활용, 바다사자 종 복원 연구를 위한 유전체 분석과 골격 복원 연구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바다사자 골격을 기반으로 디지털 형상화 작업과 3D 프린트를 활용한 실물 복원 등을 추진, 시·촉각 교육자료로 제작하고, 사라져 가는 해양생물의 보전을 위한 교육·홍보활동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