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국제조업 위기 내년에도 이어져

박동혁기자
등록일 2018-11-22 20:43 게재일 2018-11-22 11면
스크랩버튼
전경련, 2019년 산업전망<br />반도체·조선 ‘흐림’<br />차·철강·석유화학 ‘비’<br />전기전자 빼고 모두 침체

국내 제조업이 내년에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수출환경 악화와 국제 경쟁 심화 등으로 포항지역의 주력산업인 철강산업의 어려움이 클 것으로 추정돼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19년 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위원 등 산업별 전문가들이 반도체, 자동차·자동차부품 등 6개 주력 제조업과 건설업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주력 제조업 업황이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이라면서도, 업종별로는 ‘3약(자동차·철강·석유화학), 2중(반도체·조선), 1강(전자)’의 양상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사실상 주력 제조업에서는 전자를 제외한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조선업의 업황이 전반적으로 부진하거나 불투명할 것이란 분석이다.

먼저 철강업종은 중국의 철강산업 구조조정과 감산정책,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촉발된 2016년부터의 철강경기 호황사이클이 올해 일단락되면서 내년부터는 조정국면이 예상됐다.

자동차업종은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에 따른 관세부과 및 수출물량 제한 가능성, 리콜 등 품질비용 증가추세, 중국시장 부진에 따른 장기 저성장 기조 지속 등으로 업황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석유화학업종도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북미 천연가스 기반의 화학설비 신증설 등 공급 증가 요인이 맞물리며 업황이 악화될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국제유가 하향 안정화에 따라 원료가격 부담은 줄어들고, 정유 분야는 2019년 하반기부터 선박용 연료유 규제인 ‘IMO 2020’ 시행으로 친환경 고부가 석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됐다.

조선업종은 중국의 조선업계 구조조정과 환경규제에 따른 친환경선 교체발주 등의 호재도 있지만, 해양생산설비 입찰에서 국내 조선사의 경쟁력 약화가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됐다.

반면, 전자·전기업종은 배터리와 멀티 카메라 중심으로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됐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증가에 따른 판매가 인상 가능성, 테슬라 모델3을 중심으로 한 전기차 확산과 전장화 추세 확대, 배터리 원자재 가격하락 등도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됐다. 또 비제조업부문인 건설업종의 경우에는 2019년으로 이연된 신규분양의 증가와 분양가격 상승, 도급액 증가, SOC와 개성공단, 남북철도 등 남북경협 기대감으로 경기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됐다.

배상근 전경련 총괄전무는 “최근 주력 제조업은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수출환경 악화, 국제 경쟁 심화, 글로벌 공급과잉 지속, 노사갈등 등 경영악화로 총체적 난국에 직면해 있다”며 “이러한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실물발(發) 경제위기로 경기침체의 강도가 깊고, 지속 기간도 장기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