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한국당 비대위원장<br />전당대회 불출마<br />비대위 끝나면 정치 안해<br />
자유한국당 김병준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18일 “당 대표로서 당협위원장을 교체할 권한을 갖고 있다”며 인적청산 가능성을 열어놨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과거지향적인 인적청산은 반대한다. 신념체계가 전혀 다르거나 정책적 방향에 공감하지 못하는 분이 있다면 길을 달리할 수도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차기 총선 공천권과 관련해선 “총선이 2020년인데 비대위가 아무리 길게 가도 공천권을 행사할 정도로 갈 수가 없다”며 “그 때 가서 공천심사위원장을 맡길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정치적 약속이라 서로 지키기 어렵다. 애초에 공천권과 관련한 일체의 권한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순간부터 가치를 바로잡고 이념체계를 바로 잡는 일에 얼마만큼 동참하느냐에 따라 같이 할 수 있는 분인가 아니면 없는 분인가가 정리되고 평가가 나올 것”이라며 “같이 갈 수 있다, 없다 평가는 저 혼자 판단이 아니라 당내 시스템에 의해 가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가치 정립을 보수진영 우선과제로 꼽기도 했다. 새롭게 지향해야 할 가치로는 ‘자율’을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소위 진보진영은 인권, 상생, 평화 등 특정 가치를 점유할 정도로 강한 가치지향성이 있다. 보수·중도 정치권이나 한국당은 가치를 점유하는 데 있어 부실했다”며 “앞으로 치열하게 토론해야겠지만, 저는 국가가 시민사회와 시장에 지나치게 개입해서 주도해 이끄는 게 아니라 여러 주체들이 자율적으로 국가를 만들고 혁신해 가는 질서를 꿈꾼다”고 밝혔다.
비대위 활동 기간과 관련해서는 “최소한 올해는 넘겨야 그런 일(새로운 가치 정립)을 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강조했다. 당내 일부에서 주장하는 ‘비대위 조기 종료→새 지도부 구성’에 선을 그은 것이다.
비대위원 구성 방안에 대해선 “비대위원을 9명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11명으로 할 것이냐를 고민하고 있다”며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당연직 2명과 초·재선 의원 2명, 나머지는 일반 시민 또는 시민단체 계신 분들을 생각하고 있다. 성별, 전문성 등 다양한 구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신의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말이 안된다”고 잘라말했다. 2020년 총선 출마 가능성을 두고는 “나는 총선 출마 안 하고 싶다. 비대위 끝나면 정치를 안 한다”고도 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향후 보수통합을 얘기하기보다는 당을 바로 세우는데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보수통합을 추진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인위적으로 되겠느냐”며 “일부에서 연정 이야기도 나오지만 그것보다 당을 바로 세우는데 전념하겠다”고 했다.
국민대 교수 시절 강원랜드로부터 골프 접대를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선 “상식선에서 골프 프로암 대회를 한 번 하고 온 정도”라며 “그 비용이 청탁금지법이 규정하는 범위를 넘었는지는 제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