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원장 후보 압축<br />의총서 비대위 구성 논의<br />전국위서 추인 절차 예정<br />인물난에 계파 갈등<br />혁신작업 ‘암초’ 수두룩<br />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 구성이 이번주 중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은 지방선거 참패 후 당의 실권을 놓고 계파 간 극한 갈등을 연출하면서 당 일각에서 ‘차라리 분당하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심각한 내홍을 겪어왔다.
다만 당 수습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에는 상당수 의원들 사이에서 공감대가 마련된 상태다.
이에 따라 비대위구성 준비위원회가 활동 중이며, 지난 3일부터 비대위원장 비대위원 대국민 공모에 나선 상태다.
김성태 대표권한대행은 비대위 구성을 서두른다는 방침 아래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다음 주에 당이 바쁠 것”이라며 “비대위원장 모시는 작업을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당은 10일 비대위원장 후보군을 추리고, 늦어도 11일까지는 의원총회를 열어 비대위 구성 문제를 논의한 뒤 17일 임명 의결권을 가진 전국위의 추인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안상수 비대위 준비위원장은 8일 “오늘까지 비대위원장 및 비대위원 대국민 공모를 마무리한 뒤 회의를 통해 비대위원장 후보군을 5∼6명으로 압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비대위 구성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실제 출범하기까지는 상당한 난관이 예상된다. 바른정당 출신 복당파 의원들과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한 잔류파 의원들이 사사건건 충돌하며,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비대위원장이라는‘임시 간판’으로 누구를 내세울지에 대한 합의가 시급하지만 의견통일이 되지 않고 있다. 비대위에 어떤 역할과 권한을 언제까지 부여할지, 나아가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언제 할지 등에 대해서도 의견이 각양각색이다.
현재 비대위원장으로 추천된 인사들이 수 십명에 달하지만 복당파와 잔류파가 내세우고자 하는 비대위원장이 제각각 다르고, 후보로 거론되는 명망가들이 비대위원장직을 고사하는 ‘인물난’까지 겹쳐 비대위 구성에 난항을 겪고 있다.
여기에다 잔류파는 비대위가 조기 전당대회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만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김 권한대행은 비대위가 전권을 갖고 혁신작업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잔류파 의원들은 다음 의총에서 김 대행에 대한 불신임 투표와 복당파의 좌장으로 통하는 김무성 의원의 탈당을 압박하겠다고 벼르고 있어 한국당내 비대위 구성 논의가 더욱 복잡하다.
결국 한국당의 진로는 비상대책위 체제를 결정할 17일 전국위원회에서 계파 간 치열한 표 대결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위는 현역 의원과 당협위원장, 광역·기초단체장 등 1천여명으로 구성되는 데, 현재 당권을 잡고 있는 복당파는 전국위에 지지세력이 많아 표 대결 시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다. 김 대행이 지난 5일 원외당협위원장들을 모아 간담회를 연 것도 사전 정지작업으로 해석된다. 실제 원외당협위원장들은 “비대위에 백지 전권 수준의 강력한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