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섭단체 원내대표 회동<br />운영위·법사위 쟁탈전<br />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교섭단체 원내대표단이 27일 20대 국회 후반기 원구성 협상에 착수했지만 초반부터 기싸움을 벌였다.
입법부 공백 사태가 한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여야가 “이른 시일 안에 합의를 도출하자”는 입장이었지만 국회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선출, 상임위 배분을 놓고 각 당의 셈법이 달라 협상 과정에서의 진통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주당 홍영표, 한국당 김성태, 바른미래당 김관영,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장병완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첫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홍 원내대표는 “국민 민심을 국회가 잘 받들고 또 국회에서 정해진 원칙과 관례에 따라서 원구성 협상을 하면 시간이 그렇게 많이 소요될 필요가 없다”며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비롯해 산적한 현안이 많기에 빠른 시일 내 원구성 협상을 마무리하고 일하는 국회로 다시 정상화 해야 한다”고 야권을 압박했다.
반면, 야당 원내대표들은 여당의 양보를 주장했다. 한국당 김 원내대표는 “국가 권력에 이어서 지방권력까지도 민주당 정권이 독차지를 했다”며 “이제 마지막 남은 국회 권력마저도, 입법부 기능마저도 민주당이 사실상 독식해버린다면 제대로 된 비판과 견제·균형은 이뤄질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 김 원내대표도“허심탄회하고 상식에 입각한 대화가 이뤄져 빠르게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고, 장 원내대표는“다당제 체제를 바탕으로 해서 과거의 바람직하지 못한 관행이 있으면 관행을 뛰어넘어 국민 눈높이에 맞게 국회법 원칙에 따라 원구성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원내 1당인 민주당은 국회의장 사수는 기본으로 하고 청와대를 소관기관으로 둔 국회 운영위원장을 한국당으로부터 가져오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한국당은 20대 전반기 국회에서 맡았던 운영위원장과 법사위원장은 절대 빼앗길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