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복당파 의원<br />“비대위에 칼자루 줘야” <br /> 친박·일부 중진<br />“조기 전대 개최해야”<br />
김성태 대표 권한대행의 사퇴 논란이 일단락되면서 유임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가운데 혁신 비상대책위원회의 역할이 새로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김 권한대행과 복당파 의원들은 비대위가 인적청산 등 혁신적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친박계 등 당내 의원들은 전당대회로 가기 위한 다리 역할에 그쳐야 한다며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김 권한대행은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구성 준비위 회의에서 “혁신 비상대책위원장에게 한국당을 살려낼 칼을 드리고, 내 목부터 치라고 하겠다”며 “그 칼은 2020년도 총선 공천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그런 칼”이라고 밝혔다. ‘인적청산’의 전권을 주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강조한 셈이다.
김 권한대행은 이어 “한국당은 더 이상 피할 곳도 기댈 곳도 없는 절체절명의 순간”이라면서 “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국민이 마지막으로 회초리를 들고 기회를 주신 만큼 천금 같은 기회로 삼고 그 첫발인 혁신 비대위위원장을 모셔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권한대행은 또 “안상수 비대위 준비위원장에게 비대위원장을 모시는 모든 작업의 실질적 전권을 부여하겠다”며 “한국당 구성원 전원이 혁신 비대위 준비위 활동과 결정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안상수 비대위 준비위원장도 “새로운 인물로는 당 수습이 곤란하다”며 “당을 화합하고 조정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당내 역학관계를 감안할 때 조기 전당대회를 실시하는 경우 중진 의원 가운데 한 명이 당 대표가 돼, 국민들로부터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비판과 함께 혁신 작업은 물 건너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당권 경쟁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는 당내 일부 중진 의원과 친박계 의원들의 입장은 다르다. 이른 시일 내에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해 새로운 리더십을 선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 상황에서 비대위 구성은 불가피하지만 비대위는 조기 전대까지 가는 제한적 역할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전날 열린 초·재선 의원 모임에서도 친박 성향의 의원 상당수가 이 같은 주장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당 재선 의원은 “조기 전당대회로 가야 한다. 지금까지 비대위가 혁신에 성공한 전례가 없다”며 “전대라는 민주적 절차를 통해 선출된 새로운 리더십이 당을 혁신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현재 당권을 잡고 있는 김 권한대행 등 복당파 의원들이 비대위라는 수단을 활용해 ‘인적청산’이라는 칼자루를 휘두를 수도 있다는 불신 때문이다. 이럴 경우 비대위가 인적청산 작업을 하는 경우 당내 계파 갈등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비대위의 역할을 놓고 계파간 의견이 엇갈리다보니 비대위 구성이 당분간 힘들어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비대위원장을 선임하기 전에 먼저 비대위의 성격에 대한 역할을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당 한 의원은 “비대위 체제 출범에는 어느 정도의 컨센서스가 있지만, 비대위의 임무를 어떻게 봐야할지를 놓고 의견 차이가 크다”며 “의원총회 등을 통해 의견을 취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