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대변인 서면논평<br />
청와대는 29일 최근 남북미 상황과 관련한 조선일보와 TV조선의 일부 보도가 사실이 아닐뿐더러 국익을 해칠 수 있어 해당 보도에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논평을 통해 “우리는 지금 분단의 아픔과 전쟁의 공포를 벗어던질, 하늘이 내려준 기회를 맞고 있지만 바람 앞 등불처럼 아슬아슬한 것도 사실”이라며 “특히 최근의 조선일보와 TV조선 보도가 위태로움을 키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그 잘못된 보도 사례로 ‘한미정상회담 끝난 날, 국정원 팀이 평양으로 달려갔다’(조선일보)와 ‘풍계리 폭파 안 해… 연막탄 피운 흔적 발견’ ‘북, 미 언론에 풍계리 폭파’ ‘취재비 1만 달러 요구’(이상 TV조선) 등 세 건의 기사를 들었다.
김 대변인은 이들 기사에 대해 “사실이 아닐 뿐만 아니라 비수 같은 위험성을 품고 있는 기사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평소처럼 우리 내부만의 문제라면 굳이 들추지 않아도 되지만 남·북·미가 핵심 이익을 걸고 담판을 벌이는 시점에 말 한마디로 빚어진 오해와 불신이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국정원 2차장이 몰래 평양을 방문했다는 기사를 그대로 믿으면 미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이 우리 정부의 말을 계속 신뢰할 수 있겠나”라며 “문재인 대통령이 여전히 정직한 중재자일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TV조선의 보도대로라면 북한은 상종하지 못할 존재”라면서 “전 세계를 상대로 사기극을 벌이고 거액을 뜯어내는 나라가 돼버리고 마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정부를 비판하고 견제하는 것은 언론 본연의 자세이지만 최소한의 사실 확인이 전제돼야 한다”면서 “국익과 관련한 일이라면, 더구나 국익을 해칠 위험이 있다면 한 번이라도 더 점검하는 게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종이라는 유혹 앞에 언론인의 책임감이 무릎을 꿇는 경우가 너무도 잦았지만 이런 보도 행태는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