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동해안 어민 관심 키워<br />
남북정상회담이 동해안의 오징어 자원고갈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중국어선들의 북한 수역 조업 금지 성과를 이뤄낼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향후 남북 협상에서 중국 어선의 북한 수역 내 조업 금지 협상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준석 해수부 차관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북측 동해 수역에서 중국 어선 대신 우리 어선이 조업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지금 중국이 일정 비용을 내고 북측 동해 수역에서 조업 중인데 우리가그에 상응하는 비용을 내고 대신 들어가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조만간 개최 예정인 남북 군사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등 결과에 따라 안전조업 문제가 해결되면 이같은 내용의 남북 협상을 구체화하겠다고 덧붙였다.
경북동해안 어민들은 연안어업의 주된 소득원인 오징어 자원이 급감, 매년 어획부진이 이어지며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회유성 어종인 오징어는 제주도 남쪽에서 산란해 동해안을 따라 북상, 러시아 연안 등지에서 성장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제주도 연안으로 남하한다. 하지만 북한이 중국어선들의 북한수역 오징어 조업을 허용하면서 중국어선들이 포획강도가 높은 대형 쌍끌이 그물로 남하하는 오징어를 마구잡이로 남획, 오징어 자원이 크게 줄어드는 원인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동해안 어민들은 중국어선들의 북한 수역 조업을 금지시켜줄 것을 정부에 건의해 왔다.
동해안 황금어장의 상당수를 내주며 불평등 협상이란 지적을 받았던 신한일어업협정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김 차관은 이와 관련해 “그동안 일본과는 어업 외에도 정치 외교 상황까지 엮여서 꼬여왔다”며 “요즘 남북 정상회담 등 주변 영향도 있어 일본의 태도가 조금씩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진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