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청년이 살아야

등록일 2017-08-17 21:57 게재일 2017-08-17 19면
스크랩버튼
▲ 장규열<br /><br />한동대 교수·언론정보문화학부
▲ 장규열 한동대 교수·언론정보문화학부

새 정부에게 정책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문제들 가운데 우선순위 첫 번째가 `일자리문제`라는데, 들려오는 뉴스는 아직 그리 시원하지 않다. 우리 사회의 실업자 중 6개월 이상 구직활동을 하였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장기백수`의 비중이 매우 높다고 한다.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이런 장기백수 상태의 실업자가 18만명에 이른다고 하며 이는 전체 실업자의 19%에 육박하는 숫자라는 것이다. 외환위기 당시 가장 심각했을 때와 거의 맞먹는 수준이라고 한다. 물론, 나라의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사회적 분위기 탓도 있겠으나,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함에 있어 수도권의 동향이나 중앙정부의 움직임에만 의존하지 않았으면 한다.

지역의 경제계와 정치권, 대학과 청년 본인들이 적극적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분석하며 미래지향적으로 대안을 만들어 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전국적인 현상임에 틀림없으나, 같은 문제로 지역에도 고통받는 젊은이들이 존재한다면 지역은 당연히 문제의 한 가닥에라도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럴 때에, 우리 지역의 상황에 맞는 대안이 찾아지고 진정한 지역의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이 배출하는 청년대학생들이 가진 실력과 지역의 기업들이 신입직원들에게 기대하는 능력이 서로 걸맞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이는 지역의 발전과정에서 산업구조와 기업형태면에서 특정부문에 치우진 성장을 기하여 왔기 때문일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지역에 유치하는 기업군의 다변화를 기하여야 할 것이지만, 지역의 기존 기업들도 업무의 다양성과 전문화에 주목하고 글로벌 기업환경에 어울리는 업무환경을 만들어 간다면 이 같은 업무형태나 근무업종의 미스매치(mismatch)는 줄여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이 길러내는 청년인재를 지역의 기업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채용하기 위하여, 기업과 대학의 소통과 협력을 보다 강화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대학을 다니는 청년들이 그들의 미래를 위하여 준비하는 기간은 비단 졸업에 임박한 시기만은 아닌 것이다. 지역에서 대학을 다니며 학창을 구가하는 내내 지역의 기업들에서 관심을 가지고 일자리를 제공한다면, 대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인식과 애정이 살아날 것이며 기업은 기업대로 청춘의 덕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대학들은 `자유학기제` 등의 유연한 제도들을 마련하여 놓고 지역의 기업들과 교류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한다. 지역의 기업들이 대학생들에게 보다 너른 기회를 제공하면서 젊은 두뇌를 활용할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된 것이다.

지역에서 대학을 다니는 청년들에게도 문제는 있다. 지방에서 일자리를 아예 찾지 않는 것이다. 까닭을 물어보면, 지방에는 취업의 기회가 적을 뿐 아니라 문화적 역동성과 다양성이 수도권에 비하여 턱없이 못 미치므로 그들의 삶을 이어갈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는 지역 구성원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며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것이다. 문화재단이나 청소년재단이 본래 목적에 맞게 지역의 문화를 풍성하게 만들며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안겨주는 기획을 끊임없이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중앙정부도 수도권 중심의 성장정책에서 과감히 벗어나 지역마다의 특성을 살리면서 사회, 경제, 문화적 분위기를 독특하게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를 하여야 할 것이다. 지원방향도 대기업중심에서 중소기업배려로 새로운 지향성을 만들어 내어, 청년들이 작은 회사에서도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일자리문제는 더 이상 청와대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지역에서 상상력과 집중력을 발휘하여 지역에는 `장기백수`가 없도록 만들어 보았으면 한다. 지역의 기업, 대학, 시민단체,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청년들 본인들이 모두 나서야 한다. 청년이 살아야 내일이 있으며, 지역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

오그러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