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사례가 적발되면 이행강제금을 물리는 등의 적극적인 행정절차에 나설 방침이다.
안내문에는 위반건축행위의 정의와 건축신고·허가에 대한 설명, 위반건축물 행정절차와 이행강제금, 위반건축물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의 답변 등이 수록돼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인근 시·군에서 공무원을 사칭해 위반건축물과 관련된 사기 사건이 빈발함에 따라 주의해 줄 것도 당부했다.
/손병현기자 why@kbmaeil.com
손병현기자
why@kbmaeil.com
다른기사 보기
북부권 기사리스트
“쓰레기산 막자”… 안동시, 신고 포상금 제도 운영
안동시, 귀농인 이사비용.정착 지원사업 신청 접수
안동시, 폐건전지 집중 수거 캠페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안동시, 시민 건강과 자연·생태계 공존 환경 조성에 347억 투입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문화재청장상
안동 태화동 일대 상습침수 피해 없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