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집회도 사고없이 마무리<Br>고3 수험생들 대거 참가<Br>대구·경북도 10여 곳서 <Br>1만5천명 거리행진 동참
19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4차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4차 촛불집회)가 큰 사고없이 마무리됐다. 주최 측은 이날 촛불집회에 60만 명(경찰 추산 17만 명)의 시민이 참가한 것으로 추산했다. 사상최대 인파가 몰린 지난주 3차 촛불집회(주최측 추산 100만여 명, 경찰 추산 26만여 명)보다는 적은 인원이지만, 대구에서만 1만5천 명이 참가하는 등 전국 100여 개 지역에서 35만 명(경찰 추산 65곳 7만 명)의 시민이 참가했다.
특히, 이날 촛불집회에서는 지난 17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마친 고3 수험생들이 대거 참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순실 씨 딸 정유라 씨의 고등학교 생활과 이화여대 입학 등을 둘러싼 의혹이 드러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날 집회에서도 시민들과 경찰의 큰 충돌은 없었다. 수천 명의 시민들이 `박근혜 하야`를 외치며 청와대를 향해 행진했지만, 경복궁역 앞에서 경찰과 대치하는 정도에 그쳤다.
아울러 촛불집회에서는 “촛불은 바람 불면 꺼진다”는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의 발언에 항의하는 LED 촛불도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이외에도 `촛불은 바람 불면 들불 된다`, `촛불 망언 새누리당 꺼져라`는 등의 항의 피켓도 보였다.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경북에서도 수만 명의 시민이 몰려 `박근혜 퇴진`과 `새누리당 해체` 등을 요구했다. 주최 측에 따르면, 포항과 경주, 상주, 영주, 안동, 문경, 영천, 울진 등 경북지역 10여 곳에서 적게는 100여 명, 많게는 2천여 명씩 참가한 촛불집회와 문화제가 열렸다.
19일 오후 5시부터 대구 중앙파출소 앞 중앙로에서 진행된 `내려와라 박근혜 3차 시국대회`에는 1만5천여 명의 시민이 왕복 2차선 도로와 인도를 가득 메우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차 3천여 명과 2차 5천 여명에 비해 3배 이상 많아진 숫자다. 이들은 “박근혜 대통령을 탄생시킨 우리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하야를 주도하자, 대구에서 끝장내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항과 경주에서도 수능시험을 끝낸 수험생과 청소년, 학부모를 중심으로 많은 시민들이 집회에 참석했다.
19일 오후 4시부터 포항 중앙상가 실개천거리에서 열린 `박근혜 퇴진 포항시국회의`에는 시민 2천여 명(경찰 추산 500여 명)이 참석했다. 시민들과 학생들의 자유발언 위주로 진행된 집회는 노란 리본 2천여 개가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 동이 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참가자들은 오후 6시부터 북포항우체국을 출발해 오거리까지 가두행진을 진행했으며, “국정농단 박근혜 퇴진” 등의 구호를 외쳤다.
주최 측은 “우리 헌법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은 갖은 방법으로 국정을 농단하고 온갖 불법을 저질렀다”며 “국민이 위임한 대통령의 권한을 최순실이라는 비선에게 넘겨 국정을 농단한 박 대통령은 즉시 퇴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시간 경주역 광장에서 열린 `경주시민 3차 시국대회`에는 주최 측 추산 1천여 명의 시민들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자유발언 위주의 촛불집회를 진행했으며, 경주역을 출발해 도심을 한 바퀴 돈 뒤 다시 경주역으로 돌아오는 가두행진을 벌이기도 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