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0년 지역소득’ 발표<br/>작년 지역내총생산 실질 성장률<br/>경북 -2.9%·대구 -1.4% 기록<br/>1인당 개인 소득도 전국 평균 ↓<br/>대구, 1인당 지역내 총생산<br/>1992년 이후 줄곧 최하위권
지난해 대구와 경북의 경제는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가 원인이다.
특히, 대구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1992년 이후 전국 최하위 기록을 이어갔다. 대구와 경북의 1인당 개인소득도 각각 2천9만원과 1천962만원을 기록해 전국 평균 2천120만원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지역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역내총생산(GRDP)의 2019년 대비 실질 성장률은 -0.8%였다. 이는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8년(-4.6%) 이후 처음이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울산(-7.2%), 제주(-6.6%), 경남(-4.1%), 부산·인천·경북(-2.9%), 강원(-2.0%), 대구(-1.4%), 광주(-1.0%), 충남(-0.5%), 서울·전남(-0.1%) 등 12개 시·도가 역성장했다. 반면 세종(5.1%), 충북(1.3%), 경기(1.1%), 대전(0.9%), 전북(0.1%) 등 5개 지역은 제조업, 공공행정 등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었다.
지난해 명목 지역내총생산은 1천936조원으로 2019년 대비 0.4% 증가한 가운데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전국 생산의 52.5%를 차지했다.
1인당 개인소득의 전국 평균값은 2천120만원이었다. 서울(2천406만원)이 가장 높았고 울산(2천356만원), 대전(2천135만원), 광주(2천129만원)도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서울은 2017년 이후 4년 연속 개인소득 1위를 기록했다. 최하위는 경남(1천956만원)이었다.
대구의 1인당 지역총소득은 2천783만원을 기록해 전국 평균 3천768만원보다 낮았다. 1인당 개인소득도 대구 2천9만원으로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지난해 대구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58조원으로 전국의 3%를 차지했다. 실질 지역내총생산은 전년대비 1.4% 감소했다. 건설업(18.4%), 공공행정(4.4%) 등은 증가했지만 제조업(6.7%), 운수업(18%) 등은 줄었다. 정부소비(5.5%), 건설투자(21.3%), 지식재산생산물투자(1.3%) 등은 증가했지만 민간소비(5.5%), 설비투자(5.2%)는 감소했다.
경북의 1인당 지역총소득도 3천547만원을 기록해 전국 평균 보다 낮았다. 1인당 개인소득도 1천962만원으로 집계되며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경북의 지역총소득은 94조2천억원으로 전국의 4.8%를 차지했다. 지역내총생산 대비 지역총소득 비율은 89.5 수준으로 전년보다 상승했다. 지
역총소득 중 피용자보수는 총소득의 40.7%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업 잉여 및 재산소득은 21.5%, 생산 및 수입세는 7.9%를 차지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