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軍·민간 각각 추진해 동시 이전”

김영태기자
등록일 2016-08-12 02:01 게재일 2016-08-12 2면
스크랩버튼
대구공항 통합이전 추진방식·일정 확정<BR>K2軍공항 기부 대 양여<BR>민간 공항  국토부 사업<BR> 올해 안 이전후보지 선정발표
▲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이 11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권영진 대구시장과 황인무 국방부 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공항 통합이전 추진 방식을 논의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공항과 K2 군공항 통합이전 추진방식 및 일정이 확정됐다.

대구시에 따르면 11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개최된 정부TF 3차 회의에서 군공항(K-2)과 민간공항을 통합 이전하되 군공항은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사업으로, 민간공항은 국토부 사업으로 각각 추진해 동시에 이전을 완료키로 했다.

또 건의서 평가와 조사용역 등을 거쳐 올해 내 이전후보지를 선정, 발표하기로 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 권영진 대구시장과 국방부 차관을 비롯한 정부 측 관계자들이 사업 추진방식과 일정, 재원조달 방안 등에 합의함으로써 지난 7월11일 박근혜 대통령이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지시한 지 꼭 한달만에 구체적인 사업추진 방식과 일정이 확정했다.

그동안 2차례 열린 통합이전 TF회의에서 정부 주관부처인 국방부 및 국토부, 대구시가 사업 추진방식과 일정, 재원조달 방안 등에 있어 각기 상반된 입장을 보임에 따라 의견을 한데 모으지 못했으나, 이날 권 시장이 그간 결론을 내지 못한 여러 이슈들을 직접 정리하면서 최종 합의를 이끌어 낸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추진 방식의 경우 당초 국토부는 한국공항공사를 통해 현 대구공항 부지 매각대금 범위 내에서 새로운 민항시설을 건설해 이전한다는 입장이었으나, 대구시는 합의안에 현 민항부지 매각대금 등을 활용해 국토교통부가 사업을 주관하도록 명시해 예산 부족 시 국비지원이 가능하도록 길을 열어 놓았다.

이어 공항 규모도 대구공항을 지역 거점공항으로서 장래 항공수요에 대응하는 충분한 규모로 건설하기로 의견을 모아 앞으로 확장 가능성에 대비할 수 있게 됐으며 사업 추진일정은 올해 말까지 이전후보지를 선정하고, 오는 2017년 중 최종 이전부지를 선정하기로 결정했다.

/김영태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