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오지지역 우선선정 지원
경북도는 독거노인의 고독사·자살 등을 막기 위해 외롭지 않게 함께 살고, 마음을 터놓고 의지할 수 있도록 `독거노인 공동거주의 집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15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독거노인은 13만9천876명이며, 안전에 취약해 도움이 필요한 독거노인은 2만2천750명에 이른다.
경북도는 현재 910명의 생활 관리사를 통해 주 2회 유선전화와 주 1회 직접 방문으로 안부 확인을 하고 있으며 5천305가구에 활동 감지, 화재감지, 가스누출 등의 센서를 설치해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적인 장치가 미흡하다고 판단, 지난 2014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는 `독거노인 공동거주의 집`을 확대 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이 사업은 독거노인들끼리 공동생활을 하게 함으로써 불의의 사고, 고독사 예방 등 노인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올해 예산 2억4천만원을 지원, 경로당 및 마을회관 등을 활용해 일상생활이 가능한 독거노인(5~6인)을 대상으로 야간 숙식을 해결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통이 불편하거나 행정관서 및 의료시설로부터 먼 오지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 1개소당 1억원의 리모델링비와 한달에 40만원의 운영비 및 동·하절기 냉난방비 60만원을 지원한다. 독거노인 공동주거의 집은 2014년 12개소로 시작, 현재 39개소 229명의 어르신이 이용할 정도로 늘어났다.
경북도 김종수 복지건강국장은“독거 어르신들이 외로움과 소외감으로 힘들어 하지 않고,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